유(襦), 위해(尉解), 과두(裹肚), 동의(冬衣), 삼아(衫兒)
삼국시대부터 현대까지 착용되고 있는 남녀공용 상의
저고리는 남녀노소가 상의로 착용한 기본복식 중 하나로, 남녀저고리의 차이는 세부적인 형태로 구분된다. 삼국시대에는 남녀저고리의 형태와 길이가 동일하였으나 고려시대 이후부터 형태가 점차 바뀌어가면서 남녀의 복식이 구분되기 시작했다. 고려시대에는 여자저고리길이가 짧아지면서 고름이 생겼고, 조선시대에 접어들면서 여자 저고리형태가 다양하게 변화된다. 개화기시대에는 서구문물의 유입과 서양복의 영향으로 저고리길이가 길어지고 형태가 변화되면서 고름대신 단추나 브로치를 달기도 하지만 저고리의 구성인 깃, 길, 소매, 고름은 그대로 유지되고 한복의 상의로 현대까지 전해지고 있다.
저고리는 삼국시대에 위해(尉解), 유(襦)라는 용어로 전해오며, 삼국시대 고분벽화와 토우 등을 통해서 그 형태를 확인해 볼 수 있다. 삼국시대의 저고리는 길이가 엉덩이까지 내려왔으며 앞길이 직선으로 교차하는 직령교임 형태이다. 또한 고구려 고분벽화에 나타난 저고리에는 가선이 이중으로 되거나 붉은색으로 되는 등 장식적인 요소가 강조되었다. 통일신라시대에는 치마를 저고리 위로 착용하였다. 흥덕왕 복식금제에 단의라고 기록되어 있는 저고리는 짧은 형태로 소매가 길어 손을 충분히 덮을 수 있고 착용할 때는 저고리 위로 겨드랑이까지 치마를 올려 입는 방식이다. 변화된 착장방법에 따라 저고리에 대가 없어지고, 가선과 같은 장식도 확인되지 않는다. 경주 용강동 고분에서 출토된 토우 의 여성들의 모습에서 이러한 저고리 착용모습이 확인되는데 이는 통일신라시대가 중국 당과의 교역이 활발했던 시기로 상류층 여성이 중국풍에 영향을 받았기 때문으로 보인다. 고려시대 저고리는 불복장 유물로 발굴된 온양박물관소장인 중의와 해인사 불복장유물인 저고리가 전해지고 있다. 이러한 유물을 통해 저고리의 저고리 길이가 삼국시대보다 짧아지고, 길이가 짧아지면서 저고리 중심을 묶었던 대가 없어지고 고름 생겨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남자 저고리는 삼국시대 남녀 저고리가 유사한 양상을 보였던 것과 달리 고려시대 이후 장식성이 배제되고 민저고리 형식으로 단조로워 진다. 남자저고리는 실용성에 초점을 두어 저고리를 여미기 위한 짧은 고름을 달고 저고리의 품은 옆선이 사선으로 이루어져 있고 트임이 있어 여유를 많이 두는 형태로 나타난다.
조선시대에는 조선왕조실록 세조실록에 원경왕후(1365-1420) 국상절차에서 저고리라는 용어가 나온다. 조선시대 저고리 중 남자저고리는 고려시대와 형태변화가 없으나 조선시대 여자저고리는 초기, 중기, 말기로 구분될 정도로 형태의 변천이 다양하다. 여자 저고리는 출토유물과 풍속화를 비롯한 시각자료에 의해 구체적인 양식을 파악할 수 있다. 개화기시대 저고리는 당코깃이 둥글레깃으로 변화되며, 저고리 길이는 다시 길어지고 고름대신 단추, 브로치 등을 부착했다. 1960년대 이후에는 한복을 예복으로 입게 되면서 화려한 문양이나 장식이 많아졌고, 현재는 일상에서 착용하기 편안한 형태와 실루엣으로 변화되면서 다양한 상황에서 저고리가 착용되고 있다.
○ 쓰임 및 용도
저고리는 한국 전통복식의 상의 기본복식으로 남녀 모두에게 착용되는 남녀공용 복식이다. 여자는 치마와 저고리를 기본복식으로 하고 남자는 바지와 저고리를 기본복식으로 한다.
○ 구조 및 형태
저고리는 카프탄형을 그 기원으로 하는데, 카프탄형은 옷의 중앙에 구멍을 뚫고 앞에 트임을 준 뒤 머리를 넣고 여기에 소매를 부착한 형태이다. 저고리의 깃은 직선형이고 앞이 개방되는 전형적인 동아시아 카프탄형 복식구성에 해당된다. 조선시대 이전까지는 남녀의 저고리 형태가 길, 깃, 고름, 섶, 소매 등을 기본으로 하는 동일한 형태였으나 조선시대에 이르러 깃, 길이, 소매 배래 등의 형태가 변화되면서 남성과 여성의 저고리가 분화된다. 깃은 네모난 목판깃에서 반목판깃, 당코깃으로 변했고, 도련은 넓고 길었던 것이 좁아지고 짧아졌다. 배래는 직선배래에서 차츰 곡선으로 변해 현대에 착용하고 있는 저고리의 소매 형태로 나타났다. 저고리 여밈은 중앙에서 겹쳐지던 것이 오른쪽이나 왼쪽으로 완전히 돌려 여미는 것으로 변화된다. 조선시대 초기 여자저고리의 형태를 살펴볼 수 있는 유물로는 〈안동 김씨 출토 저고리(1560)〉가 있다. 저고리 품은 옆선이 아래로 퍼져 있어 A라인으로 풍성하였고 소매는 직배래이며, 통수형태이다. 소매길이가 긴 것이 특징이며, 수구에 넓은 끝동이 달려 있다. 깃은 겉깃과 안깃이 모두 네모난 목판깃으로 깃에는 넓은 동정을 달았다. 조선시대 중기에는 저고리길이가 전기보다 짧아지며, 목판깃이 반목판깃으로 변화된다. 저고리 화장도 짧아지고, 품도 전기보다 좁아져 몸에 맞는 형태로 된다. 조선시대 후기에는 저고리길이가 극도로 짧아지고, 품이 좁아졌으며 이를 청연군주(1754-1821)의 출토유물에서 살펴볼 수 있다. 개화기시대 저고리는 서양문물의 유입으로 블라우스와 같이 저고리 길이가 차츰 길어졌다. 저고리 길이가 길어지면서 화장, 진동, 배래, 수구가 모두 여유 있게 구성되었고 1930년대 이후에는 저고리 길이가 더욱 길어졌다. 특히 저고리의 배래는 매우 둥그러져서 곡선을 이루었고, 고름과 동정도 넓고 길어졌다. 저고리길이가 길어지자 여밈의 방법으로 고름 대신 브로치를 이용하기도 하였다.
○ 제작방법
저고리는 구성하는 방법에 따라 민저고리, 회장저고리, 삼회장저고리가 있다. 회장저고리는 여자저고리에서 고름, 깃, 끝동에 길과 다른 색상으로 소재를 사용한다. 삼회장저고리는 회장저고리형태에 곁마기도 다른 색상의 소재를 사용하여 변화를 주는 저고리 구성이다. 바느질하는 제작법에 따라 홑저고리, 겹저고리, 누비저고리, 깨끼저고리 등이 있다. 저고리 제작기법은 계절과 소재에 따라 많은 영향이 있다. 추운 겨울에는 방한을 목적으로 명주나 무명에 솜을 두어 누비저고리를 제작하였다. 더운 여름에는 모시나 마포 등을 소재로 하여 홑겹으로 제작하였다. 항라, 생고사 같은 얇은 소재는 깨끼저고리로 솔기가 매우 가늘고 얇아 섬세한 바느질방법으로 곱게 제작하였다.
저고리는 한복의 상의로 남성에게는 겉옷으로 여성에게는 겉옷과 속옷으로 착용되었다. 삼국시대부터 현대까지 저고리는 한복의 기본구성으로 이어져 내려오고 있으며, 시대에 따라 세부적인 요소의 형태 변화가 이루어지면서 현재까지 착용되고 있다. 저고리는 한국 전통복식의 특징적인 요소인 깃, 고름, 동정, 배래의 형태 등 한국복식 미를 보여줄 수 있는 복식 중 하나라 할 수 있다.
『조선왕조실록 』 국립민속박물관, 『한국의식주생활사전』, 평사리, 2017. 김영숙, 『한국복식문화사전』, 미술문화, 1998. 김은정․ 임린, 『한국복식문화의 이해』, 전남대학교 출판문화원, 2021.
배리듬(裵리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