첩리(첩裏), 천익(天翼), 세습아(細褶兒), 방의(防衣), 단첩리(單帖裏)
고려시대에 유입된 옷으로 상의와 하의를 따로 구성하여 허리에 연결된 형태이다. 왕 이하 사대부가에서 편복이나 융복으로 착용했던 소매에 단추가 있는 포이다. 구성은 상의는 저고리이고, 하상에는 잔주름을 잡은 치마 형태이다.
철릭은 몽골어로 Telig를 어원으로 보고 있다. 조선시대에 왕 이하 다양한 계층에서 착용했던 융복으로 포안에 받침옷으로 착용했다. 철릭은 비상시 겉옷을 벗으면 옷을 갈아입는 번거로움 없이 융복으로 대신할 수 있었으며, 한쪽 또는 양쪽 소매를 반소매로 만들고 따로 긴소매를 만들어 매듭단추로 연결한 포이다. 조선시대 다양했던 포 중에서도 실용적인 옷이었다. 특히 굿이나 민속극에서는 신분을 상징하는 복식으로 연희복식으로 다양하게 착용되고 있다.
철릭의 기원은 정확하게 알 수가 없다. 철릭은 고려중기 이후 원나라로부터 들어온 호복(胡服)으로 착용범위도 왕으로부터 서민에 이르기까지 널리 착용했던 다양했던 포이다. 철릭은 고려시대부터 착용했으며, 철릭에 대해서는 『악학궤범(樂學軌範))』에 단첩리와 방의의 명칭으로 소개되고 있다.
착용 범위나 신분은 다양하지만, 군인이나 하급관리의 통상예복, 전쟁 시에는 공복의 역할을 하기도 했다. 철릭은 사대부의 편복으로 착용할 때는 표의로, 유사시에는 융복으로도 입었다. 하상에는 주름이 잡혀있는 치마형태라 활동할 때 불편이 없을 뿐만 아니라 소매는 한쪽의 단추를 뗄 수도 있게 하여 비상시에는 붕대로 사용할 수 있었다. 철릭의 형태는 시대에 따라 상의와 하상의 길이와 폭, 주름잡는 방법, 깃, 소매 등에서 많은 변화가 있었다. 『경국대전(經國大典)』예전 잡령 기록에 의하면 신분에 따른 제한을 두기도 하였다.
『원행을묘정리의궤(園幸乙卯整理儀軌)』에는 왕이 궁궐을 나와 행차할 때 철릭의 양쪽 어깨에 용이 수놓아진 보를 부착한 곤룡 철릭을 착용한다는 기록이 있다. 임진왜란 후에는 직령과 도포를 주로 착용하여 철릭은 융복의 기능이 약화되고, 무관의 평상복으로 널리 착용하였다. 『삼재도회(三才圖會)』 회화자료에 철릭의 도식을 확인할 수 있다.
전해지는 유물은 해인사에서 소장하고 있는 고려시대 불복장 유물인 요선철릭이 있다.
철릭은 조선시대에 남자가 착용한 다양했던 포 중에서 가장 합리적이고 실용적인 옷이라고 볼 수 있다. 형태는 상의하상(上衣下裳)으로 상의는 저고리이나, 허리 부분에는 주름을 잡은 치마가 연결된 원피스 형태이다. 조선시대 초기에는 상의와 하상의 비율이 1:1정도였다가, 1620년대는 1:2정도 되다가 말기에는 거의 1:3의 비율로 상의보다 하상이 길어지는 형태가 변화를 보인다. 하상에 잡은 주름도 조선시대 초기에는 정교했던 잔주름이 임진왜란 이후에는 맞주름인 형태를 보이다가 후기로 갈수록 아랫단까지 눌러 잡은 넓은 형태로 변화된다. 소매도 조선시대 후기로 갈수록 넓어지고 배래에 곡선이 생겼다. 소매의 형태는 통수형과 분리형으로, 분리형은 소매를 떼었다 붙였다 할 수 있게 매듭단추나 끈으로 연결되어있다. 분리형의 소매는 전시에나 위급할 때 철릭의 소매에 매듭이나 끈을 풀어 붕대 대신으로 사용하기도 했다. 소매의 형태뿐만 아니라 하상인 치마는 주름을 잡아 활동성이 편하게 되어있어 융복이나 편복으로 착용한다. 앞길 여밈도 조선시대 초기 겹쳐지던 것이 차츰 여밈이 적어진다. 이러한 철릭의 특징은 다른 포와는 달리 소매에 매듭단추가 있으며, 소매에는 매듭단추가 양옆에 있거나, 한쪽만 있는 두 가지 유형이 있다. 철릭에 나타난 형태변화는 시대를 구분하는 기준이 되기도 한다. 당상관은 남색, 당하관은 청현색, 교외 거동 시에는 홍색이나 청색을 착용하였다. 그러나 사령, 나장 등 하급직 관료들은 백색, 홍색, 청색을 기타 악공이나 무당은 주로 홍색을 착용하였으며, 별감 통상복으로는 홍색을 착용하였다. 『국학도감』 도식을 보면 융복으로 착용할 때는 입, 광다회, 목화를 갖추어 신었다. 조선시대 착용했던 철릭은 신윤복의 신무도 풍속화에서 굿을 주도하는 무당이 머리에는 호수립을 쓰고 겉에 입는 홍색 철릭을 착용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현재 연행되는 굿거리에서도 굿의 유형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지만, 상산거리, 별상거리, 군웅거리에서 무당이 착용하여 주신을 상징한다.
『무당내력』 『조선왕조실록』 김은정, 『한국의 무복』, 민속원, 2004. 김영숙, 『한국복식문화사전』, 미술문화, 1998. 국립민속박물관, 『한국의식주생활사전』, 디자인인트로, 2017. 서지혜, 「조선시대 광주• 전남지역 출토 철릭에 관한 연구」, 광주대학교 석사논문, 2001 유희경, 『한국복식사연구』, 이화여대 출판부, 1975. 이은주, 『철릭의 명칭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3ㆍ12, 1988.
김은정(金垠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