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포(靑袍), 백포(白袍)
조선시대 예를 갖추기 위해 입던 가장 보편적인 남자 겉옷
도포는 도교나 불교 복식에서 유래하였다는 설과 관직이 없는 선비를 위해 직령(直領)과 유사하게 만들었다는 설이 있다. 본격적으로 도포가 입혀진 것은 임진왜란 이후이며 점차 일반인들도 착용하게 되었다. 도포는 조선시대 남자 통상예복으로 곧은 깃, 넓은 소매, 전삼(展衫) 등으로 구성된 겉옷이다. 도포의 전삼은 옆선에 달린 무가 뒤로 젖혀져서 고정되는 독특한 양식이다. 전삼 위로는 뒷자락을 한 겹 더 겹쳐 도포 뒷면에서 전삼의 트임이 보이지 않는 구조이다. 도포의 깃은 곧은 깃으로 칼깃, 반달깃, 반목판 당코깃 등이 있고, 쌍섶에서 단섶으로 변화하였다. 넓은 소매이며 비단, 모시, 삼베로 만들었다. 도포의 색상은 청색이 많았고 백색을 함께 사용하였다. 청색 도포는 길일에 입었으며, 백색 도포는 평상복으로 구별하였다. 그밖에 남색, 초록색, 다홍색 등 다양한 색상이 있었다. 도포는 조선시대 예를 숭상하고 절의와 검약을 실천했던 유생과 선비의 옷으로, 개화기 이후에는 좁은 소매, 간소화된 무 등 두루마기와 같은 형태가 되었고 일반인들은 갓[黑笠]과 도포를 갖춰 통상예복으로 입었다. 현재까지도 관례, 제례 등 사례복식으로 입혀진다.
도포의 유래는 도교 및 불교와의 관련설, 관복 유래설이 있다. 『성호사설(星湖僿說)』, 『임원십육지(林園十六志)』, 『오주연문장전산고(五洲衍文長箋散稿)』 등 조선시대 문헌에서 도포가 도교나 불교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을 언급하였다. 도포는 승복인 장삼과 동일하고, 도포의 명칭이 도교의 도복(道服)과 유사하다는 이유에서다. 또한 관직이 없는 선비가 관복인 직령을 입을 수 없어 도포가 만들어졌다는 것이다. 『남당초고(南塘草稿)』에 의하면, 넓은 소매와 곧은 깃을 유지하고 옆선의 무를 바꾸는 방법으로 도포가 시작되었다. 도포의 앞면은 직령과 매우 유사하고, 옆면은 여유분 옷감인 이엽삼(二葉衫)을 한판(汗版)에 펼쳐 붙였다. 도포의 시원은 고려말에서 조선초기이나 본격적인 착용은 임진왜란 이후이다. 『선조실록(宣祖實錄)』에는 임진왜란 이후 복제(服制)를 갖추는 논의에서 도포의 언급이 많다. 직령 착용이 줄고 도포를 많이 입었으며 조선후기에는 천민들도 도포를 길게 끌고 다닌다는 기록이 등장한다. 문헌에는 청포(靑袍), 백포(白袍) 등의 명칭이 보이는데, 포는 곧 도포라는 인식이 생길 정도로 보편화되었다. 한편 고종의 갑신의제개혁(甲申衣制改革, 1884)에 좁은 옷은 귀천을 막론하여 입으며, 도포, 직령 등을 없애는 조처가 내려졌다. 그러나 제사(祭祀), 조상(弔喪) 때 복식으로 도포 착용을 허용해 달라는 상소를 올리는 등 반발이 거셌다는 점에서 도포가 예를 표하는 복식으로 인식되었음을 알 수 있다.
도포는 곧은 깃, 넓은 소매, 한판, 전삼 등으로 구성되며 종아리까지 오는 길이이다. 도포의 가장 특징적인 형태는 뒷자락과 전삼인데 도포의 뒷면에서 두 겹으로 겹쳐진다. 도포의 전삼은 옆선에 넉넉하게 달린 무가 몸통을 감싸며 뒤로 젖혀져서 고정된 부분을 말한다. 이를 이엽삼이라고도 한다. 겉옷 포는 걸을 때, 앉을 때, 말을 탈 때처럼 옷을 입고 활동하는 상황에서 착용자가 편안하도록 옆선이나 뒷중심선에 트임을 주고 무라는 여유분의 천을 덧댄다. 도포의 무는 형태와 연결방법이 매우 다양하다. 무는 삼각형뿐만 아니라 직사각형, 사다리꼴, 마름모 모양이 있고 앞길과 뒷길의 좌우 옆선 겨드랑이 아래로 4개 이상을 달았다. 도포에는 삼각무에 다시 사다리꼴무나 직사각형무를 연결한 형태가 많았다. 이렇게 연결된 무가 도포의 전삼이다. 전삼은 옆선에서 시작하여 몸통을 감싸고 뒷자락 아래쪽으로 들어가 뒷중심에서 자연스럽게 뒷트임을 만든다. 전삼은 도포가 겹옷일 때는 뒷길 안쪽에 직접 고정하고 홑겹일 때는 한판에 부착한다. 전삼 위로 도포의 뒷자락이 전삼으로 만들어진 트임을 덮는다. 뒷자락으로 인해 전삼은 가려지게 되어 도포 뒷면에서 봤을 때 보이지 않는 구조이다. 도포의 뒷자락은 수거(垂裾), 수폭(垂幅), 후수(後垂) 등으로도 불렸다. 도포의 깃은 칼깃, 반달깃, 반목판 당코깃 등이 있다. 출토유물 등에서 볼 수 있는 도포의 깃은 칼깃에서 조선후기로 갈수록 반달깃이 많아졌다. 도포의 섶은 겉섶과 안섶이 겹쳐지는 정도가 얕아지면서 두 개의 섶이 연결된 쌍섶이 단섶으로 변화되었다. 도포의 소매는 소매통이 좁은 착수형의 긴 소매였는데 조선후기에 이르러 소매길이는 짧아지고 소매통이 넓은 광수형의 두리소매가 되었다. 어깨바대는 홑도포에서 나타난다. 어깨바대는 옷의 하중을 버티고 형태를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포의 한판은 전삼과 연결하여 뒷자락 아래에 부착되었다. 도포의 소재는 사(紗), 라(羅), 능(能), 단(緞), 주(紬)와 같은 견직물과 모시, 삼베와 같은 마직물이 사용되었다. 도포의 색상은 청색이 많았고 백색을 함께 사용하였다. 청색은 길복으로 착용하고 백색은 평상복으로 애용하여 구별을 두었다. 그 외에도 남색, 초록색, 다홍색 등 다양한 색상이 확인된다.
도포는 조선후기 대표적인 남자 겉옷이다. 인간에 대한 존중과 조상에 대한 경배를 통해 예를 숭상하였던 조선의 유교사상을 담고 있으며, 절의를 지키고 검약하는 삶을 추구했던 선비의 삶을 상징하는 옷이다. 도포를 착용했던 초기에는 관복 밑에 받쳐 입던 옷이었지만 차츰 일상의 예복이 되었다. 조선후기에 이르러서는 유생들이 단령(團領)을 대신해 도포를 착용하면서 유교와 예학을 숭상하는 의미를 갖게 되었다. 도포는 점차 통상예복뿐만 아니라 관혼상제와 같은 주요 의례에서 예복으로 입혀졌다. 『순조실록(純祖實錄)』에는 효명세자(孝明世子, 1809~1830)가 관례를 치를 때 동자의 초출복(初出服)으로 도포를 착용하였다고 기록되어 있다. 사대부가에서도 관례 시 도포를 착용하였다. 혼례에는 신부집에서 신랑을 위한 필수 예단으로 도포를 준비하였다. 상례에는 망자가 입는 수의로 도포를 입혔는데, 『영조실록(英祖實錄)』에는 영조(英祖, 1694~1776)의 수의, 『순종실록(純宗實錄)』에는 왕손 이진(李晉, 1921~1922)의 수의로 사용된 도포의 기록이 확인된다. 제례(祭禮)에서는 단령, 심의(深衣)를 대신해 간소화된 제례복식으로 입혀졌다. 일반인의 예복으로 도포가 착용된 것은 『목민심서(牧民心書)』에 하층민의 도포 착용을 언급한 것으로 미루어 알 수 있다. 일제강점기에는 ‘개량 도포’ 규정을 통해 일반인에게 보편화되었다. 개화기시대 도포는 좁은 소매, 간소화된 무 등 두루마기와 같은 형태로 많은 변형이 있었고 신분구별 없이 착용하는 통상예복이 되었다. 일상에서 도포는 의관(衣冠)을 정제하고 예를 갖추는 복식으로 일반인들도 갓을 쓰고 도포를 입는 것으로 예를 표하게 되었다. 제례에서는 도포를 입을 때 유건(儒巾)을 썼다. 현재까지 전승되고 있는 종가제례, 시조제례 등에서 제관과 참례자는 도포를 입고 유건을 쓴다.
『남당초고』 『목민심서』 『선조실록』 『성호사설』 『순조실록』 『순종실록』 『영조실록』 『오주연문장전산고』 『임원십육지』 국립민속박물관, 『한국민속예술사전』, 평사리, 2016. 김영숙, 『한국복식문화사전』, 미술문화, 1998. 이은주, 「道袍 양식의 발전에 대한 갈등·기능론적 분석」, 서울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9.
임린(任潾)