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장삼(紅長衫), 할옷, 화의(花衣), 화의(華衣), 활의(闊衣)
조선시대 공주나 옹주의 혼례복
활옷은 가례(嘉禮) 때 착용하던 조선시대 공주나 옹주의 혼례복이며, 말기에 가서는 일반인도 사용이 허용되었다. 활옷은 크게 궁중 활옷과 민간 활옷으로 구분할 수 있다. 비록 그 재료와 기법의 차이는 있지만 궁중과 서민의 활옷은 모두 자수로 아름답고 화려하게 장식하였고 색상 또한 궁중과 민간 모두 귀한 예복의 색으로 여겼던 홍색을 사용하였다. 따라서 활옷은 궁중과 민간의 혼례복으로 전통 복식의 아름다움을 대표하는 복식이라고 할 수 있다. 활옷을 입을 때 화관이나 족두리를 쓰며, 장수와 길복을 상징하는 무늬들이 홍색 바탕에 화려하게 자수되어 있다. 활옷의 형태는 뒷길이가 앞길이 보다 길며, 옷깃을 마주 여미는 합임(合袵)으로 깃이 없고 넓은 동정이 달린다. 옆선은 겨드랑이 밑부터 트여있고 동정 밑에 작은 고름을 달아 앞이 벌어지지 않도록 하였다.
활옷은 조선시대 여성 혼례복으로 섭성(攝盛)의 관례(慣例)에 따라 왕실 여성의 혼례복인 홍장삼에서 유래한 복식으로 알려져 있다. 궁중 홍장삼은 금원문으로 장식된 홍색 노의(露衣)와 함께 왕비와 세자빈 이하 군부인과 공주 옹주에 이르기 까지 왕실 모든 여성의 궁중 혼례에 착용되었던 예복이다. 궁중의 홍장삼은 민간 혼례복으로 허용되었으며, 근대 이후에도 그 명맥이 이어질 수 있었으며, 현재 전통혼례나 폐백 때 신부가 입고 있다. 활옷이라는 복식 명칭은 궁중 혼례관련 기록에는 나타나 있지 않고, 국문소설이나 신문 기사 등 한글로 출판된 근대 기록 중에서만 찾아볼 수 있다. 활옷이라는 복식 명칭이 사용되기 시작한 정확한 시기를 알 수는 없지만, 조선시대 왕실과 반가에서는 홍장삼이란 한자어 복식 명칭을 사용하였고, 민간에서는 할옷 혹은 ‘큰 옷’이라는 의미의 활옷이라는 순 우리말 복식 명칭을 사용하였던 것으로 추측된다. 한편 조선시대 유학자들의 문집과 예서의 기록을 통해 17세기 민간에서는 이미 ‘지금 우리나라 풍속의 혼례복[今東俗嫁時之服]’이라고 일컬을 만큼 홍장삼의 유행과 선호가 컸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민간의 홍장삼이 자수로 장식되었음을 알 수 있는 기록은 18세기 기록에서부터이지만 고대로부터 내려오는 우리민족의 자수복식 문화의 전통으로 보아 자수로 장식된 홍장삼의 역사는 기록이 나타난 18세기보다 더 오래전부터 시작되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제작 연대가 1837년경으로 추측되는 덕온공주의 궁중 홍장삼 수본에 ‘홍장삼 수초 저동궁’이라는 묵서를 통해 그 이전에 이미 궁중 홍장삼에 자수 장식이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측해 볼 수 있다. 1871년에 완성된 『거가잡복고(居家雜服攷)』 에도 ‘홍장삼이 있어 붉은 비단을 바탕으로 두루 연꽃을 가득히 수놓아 (중략) 이것으로 합근례(合巹禮)하고 현구고(見舅姑)를 한다는 내용이 있어 홍장삼은 대례와 현구고례(見舅姑禮)에 모두 착용할 수 있는 예복이었음을 알 수 있다.
국내 소장 활옷 유물 중 궁중 활옷임을 확인할 수 있는 유물은 순조(純祖, 재위 1800~1834)의 2녀인 복온공주(福溫公主, 1818~1832)가 1830년 가례 시 착용했던 활옷으로 알려져 있다. 복온공주가 입었던 활옷은 창녕위 후손들의 혼례복으로 전해져 오다가 현재는 국립고궁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활옷의 형태는 뒷길이가 앞길이 보다 긴 전단후장(前短後長)이며, 옷깃을 마주 여미는 합임(合袵)으로 깃이 없고 넓은 동정이 달린다. 옆선은 겨드랑이 밑부터 트여있고 동정 밑에 작은 고름을 달아 앞이 벌어지지 않도록 하였다. 겉길과 안길 사이에는 두껍게 심을 대는데 과거에는 여러 겹의 종이를 넣었고 근대에는 광목 등으로 심을 둔다. 소매는 넓고 배래는 직선이며, 황색ㆍ남색ㆍ홍색의 색동은 예복의 화려함을, 백색 한삼과 동정은 의례복의 정갈함과 정숙성을 나타내고 있다. 홍색은 벽사와 길상의 색상으로 동아시아 신부복에 공통적으로 사용된다. 활옷의 겉감은 다홍색 비단이며 안감은 남색 비단을 사용하여 음양의 조화를 이루고 있다.
활옷은 다홍색 바탕에 장수와 많은 자손, 부부의 행복을 의미하는 물결ㆍ바위ㆍ불노초(不老草)ㆍ봉(鳳)ㆍ나비ㆍ연꽃ㆍ모란꽃ㆍ천도(天桃)ㆍ동자(童子) 등의 무늬를 화려하게 수를 놓았으며, 이성지합(二姓之合)ㆍ만복지원(萬福之源) 또는 백복지원(百福之源)ㆍ수여산(壽如山)ㆍ부여해(副如海) 등의 글씨를 수놓았다. 활옷의 자수 중에서 연꽃은 불가(佛家)에서 귀하게 여기는 꽃으로 건강ㆍ장수ㆍ불사(不死)ㆍ행운ㆍ군자를 상징한다. 봉황은 실존하지 않은 새로 서응조(瑞應鳥)라 하여 행운과 권위를 상징하며, 원앙은 다정한 부부의 뜻을 가진다. 나비는 다시 살아나고자 하는 소생(蘇生)의 뜻으로, 십장생은 고귀하고 영원한 삶을 상징하는 의미를 가진다. 그러므로 활옷은 인생을 새 출발하는 신부가 입는 혼례복으로 사용되고 있다.
복온공주 활옷의 후면은 자수 장식으로 가득 차 있지만 전면은 자수 장식과 함께 둥근 원앙문 금박 장식이 같이 나타나 있어 현재 전해지는 활옷과는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다. 자수 무늬의 도안이 작고 가는 자수사를 사용하여 섬세하게 수를 놓아 전체 자수 장식의 무게가 크게 나가지 않을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활옷의 형태를 유지하기 위해 따로 두꺼운 심지를 댈 필요가 없고, 활옷의 실루엣이 깃과 소매의 배래부분 그리고 앞뒷길의 도련선 등이 곡선 형태이다. 자수 무늬는 전형적인 활옷에 나타나는 무늬인 문자무늬이나 기타 길상무늬 등이 나타나 있지 않고 다양한 꽃무늬과 나비무늬, 보배무늬[寶紋]로 이루어져 있다. 무늬의 구도는 주 무늬인 여러 종류의 꽃무늬를 나란히 배치하고 그 위, 아래로는 좁은 띠 형태의 경계선을 배치하여 그 속에 작은 꽃무늬와 보배무늬를 번갈아 배치하였다. 무늬와 무늬 사이의 경계선은 금사 징금수 기법으로 선수(線繡)를 놓아 전체적으로 넓고, 좁은 줄무늬가 연속한 기하학적인 구도를 이룬다. 이러한 줄무늬 구도를 활옷 부위에 따라 가로, 세로로 배치하여 시각적 균형과 변화를 나타내고 있다.
활옷에 나타난 무늬는 궁중 활옷과 민간 활옷을 구분할 수 있는 기준이 되기도 한다. 궁중 활옷의 경우 전체 도안이 매우 치밀하고 일정한 도식적 양식이 지켜지고 있는 반면, 민간 활옷의 경우는 도안 양식과 구조의 변화가 커 다양한 유형의 도안 형태가 존재한다. 궁중 활옷의 경우 궁중 화원(畵員)에 의해 도안이 그려지기 때문에 일정한 양식적 틀이 유지된 반면, 민간 활옷의 경우에는 창작자의 의도에 의해 도안의 변형이 자유롭게 이루어졌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선호되었던 무늬에서도 차이를 나타내 궁중 활옷 무늬 중 보배무늬와 복숭아무늬가 민간 활옷에서는 나타나지 않으며 득남을 상징하는 동자무늬가 선호되는 특징을 찾을 수 있다.
활옷의 여밈은 복온공주 활옷과 궁중 홍장삼의 기록에 의하면 단추를 사용했으나 창덕궁 활옷에는 고름이 달려 있어 시기적 변화가 있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국립민속박물관에 소장된 광복이후의 활옷은 혼례복으로 다홍색 단 바탕에 연꽃, 석류, 불로초, 물고기 등은 색실로, 전면의 오리문양은 금사로 처리되었다. 안감은 남색 단(緞)이 사용되었고 소매 끝에는 노란색, 남색, 빨간색 끝동과 한삼이 달려 있다. 다홍색 단(緞)에 금사로 봉황을 수놓아 만든 길이가 356cm인 대(帶)가 있다.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된 광복 이후의 활옷은 사직물로 만들었으며 활의(闊衣)라고도 한다. 등길이는 124cm이고 화장은 99cm이고 품은 42.4cm이다. 소매는 넓고 뒷길이 앞길보다 길며, 직선 형태의 단순한 실루엣에 앞보다 뒤쪽의 자수가 더 화려하다. 활옷의 동정은 뒷길 아래 부분을 넓은 반원 모양으로 한지를 잘라 덧대준 경우를 볼 수 있는데, 이것은 수구의 한삼 위에 붙인 한지와 마찬가지로 오염을 막기 위한 것이다. 동정의 뒷부분에 쪽머리가 닿아서 때가 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반원형의 넓은 동정을 대었다. 뒷길 도련 중앙에 작은 고리가 달려있는 경우가 있는데, 이 고리는 수모가 신부를 지탱하도록 도와줄 때 잡기 쉽도록 만든 것이다.
활옷을 입을 때는 빨강치마 또는 대란치마에 삼회장저고리를 입고 활옷을 입으며, 활옷을 입고 가슴에 대대(大帶)를 띤다. 머리는 쪽을 찐 뒤 용잠(龍簪)을 꽂고 화관(花冠)을 쓰며, 용잠의 양 끝에는 앞댕기를, 화관 밑의 뒤편에는 큰댕기를 드린다. 착장한 모습이 매우 화려하고 아름다운 혼례복이다. 조선 말기에는 화관 대신 족두리를 사용하기도 했다. 개화기 이후 혼례 풍속 사진에 나타난 신부는 신분의 고하(高下)와 상관없이 궁중 양식인 큰머리 장식과 활옷을 착용하고 있으므로 조선 말기 왕실에서부터 양반가와 민간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계층의 혼례에서 활옷이 착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활옷은 조선시대 공주나 옹주의 혼례복이었으나 민간 혼례복으로 허용되었으며, 근대 이후에도 그 명맥이 이어져서 현재 전통혼례나 폐백 때 신부가 입고 있다. 전통 혼례복인 활옷은 다홍색 바탕에 장수와 길복을 상징하는 무늬들을 화려하게 수놓았다. 활옷은 합임에 큰소매, 앞길이가 짧고 뒷길이가 긴 형태와 겨드랑이 아래로 트인 길 그리고 색동과 한삼으로 장식된 소매 등 원삼과 거의 흡사한 형태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활옷의 구성은 원삼과 다른 구조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 활옷은 일반적으로 뒷자락이 앞자락 보다 약 20cm 정도 길며 등솔을 가르지 않고 통으로 되어 있다. 원삼을 비롯한 대부분의 예복은 길의 연장선이 진동에서 7~8cm 가량 소매 쪽으로 더 나아가도록 마름질하고 있으나 활옷은 진동에서 길과 소매를 잇도록 되어 있다. 활옷의 구성적 특징은 활옷은 뒷자락의 자수가 보이지 않도록 안감을 두어 겹으로 제작하며, 궁중이나 민간 모두 세 줄의 색동을 다는 것이 일반적이다.
박규수 지음·조효순 옮김, 『역주 거가잡복고』, 석실, 2000. 석주선, 『한국복식사』, 보진재, 1971. 유희경, 『한국복식사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1975. 손경자, 「활옷의 형태와 무늬에 관한 연구」, 『복식』 1, 1977. 이은주ㆍ서지혜ㆍ손진, 「복온공주 활옷의 자수편과 문양 분석을 통한 연대 추정」, 『고궁문화』 14, 2021. 권혜진, 「활옷의 역사와 조형성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8. 신혜성, 「한국과 중국의 전통혼례복식에 관한 연구:18~20세기 초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e뮤지엄(www. emuseum.go.kr/html). 규장각 한국학연구원(www. e-kyujanggak.snu.ac.kr/html). 국립고궁박물관(www. gogung.go.kr/html).
김용문(金容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