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구, 벅구, 버꾸, 법고(法鼓), 매구북
농악대, 선소리패, 사당패 등이 치는 타악기로, 손잡이가 달린 작은 북
소고는 가죽으로 만든 작고 동그란 북 모양에 나무 손잡이를 달고, 나무로 만든 채로 두드려 연주하는 악기다. 보통 농악에서 쓰는 소고는 지름이 20cm 정도 되는 가죽으로 만든 혁부(革部) 악기이며, 막을 쳐서 진동을 통해 소리 내는 막명악기(membranophone, 膜鳴樂器)로 분류된다. 이 악기는 음량과 공명이 크지 않아서 음향 효과는 작고, 대신에 무구(舞具)로서의 활용과 기능이 크다. 지역에 따라 조금씩 크기와 모양의 차이가 있으며, 드물지만 손잡이 대신 끈을 달아 고정시켜 연주하는 지역도 있다. 따라서 농악 악기 중 하나로 편성되는가 하면, 소고를 활용한 별도의 전통 춤양식이 형성되어 활발히 연행되고 있다. 소고는 지역에 따라 조금씩 크기와 모양이 다른 다양성을 보였으나 현재는 표준화에 가깝게 대동소이해졌으며, 드물지만 손잡이 대신 끈을 달아 고정시켜 연주하는 지역도 있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소고는 조선시대 출현한 유랑 연예집단 중 사당패들에 의해 전국적으로 보급된 악기다. 법고, 버꾸와 같은 명칭은 사찰과 계약을 맺고 걸립(유랑 연예)을 펼쳤던 이 사당패들의 연행 배경과 연결되어 있다. 사당패의 거사(居士)들은 소고를 치며 노래를 연행하였고, 선소리패에서는 모갑이가 장구를 치고 다른 소리꾼들은 모두 소고를 치며 노래했다.
○ 제작 방법 얇은 나무판을 휘어 폭이 4㎝~4.5㎝ 정도 되는 원형의 몸체를 만들고, 그 양면에 가죽으로 만든 편을 붙이고 가죽끈이나 나일론 소재의 끈으로 얽어맨다. 장구의 편을 만들 때 노루가죽과 개가죽을 썼던 것과 같이 소고도 이런 가죽들을 썼으나, 노루 가죽의 희귀 및 야생동물보호법 등의 환경 변화와 함께 개가죽을 쓰는 것이 일반화되었다. ○ 연주 방법 농악에서 소고는 리듬악기로서의 기능은 미약하고, 대신 이 악기의 연행자인 소고잽이가 소고를 무구로 삼아 다양한 몸짓(춤사위) 표현요소를 통해 ‘소고놀음’을 개발하고, 예술성을 발전시키며 독자적인 계보를 형성시켰다. 농악에서 소고를 드는 연행자는, 착용한 머리쓰개에 따라 고깔소고잽이와 채상소고잽이로 구분되는데, 머리쓰개에 따라 소고의 활용을 통한 몸짓(춤사위)도 크게 달라진다. 과거 고깔소고는 호남우도농악 권역에서, 채상소고는 호남좌도농악과 영남농악 권역에서 특징을 보였으나, 현재 전승되고 있는 농악패에서는 대부분이 채상소고를 편성하고 있다. 경상북도 구미 무을농악과 김천 빗내농악의 소고놀음은 역동적인 신체동작과 기예에 가까운 동작을 구사하며 해당 농악의 특징으로 손꼽히고 있다.
○ 연주 악곡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된 진주삼천포농악, 강릉농악, 평택농악, 이리농악, 임실필봉농악, 구례잔수농악, 김천빗내농악, 남원농악 등에 편성된다.
소고는 농악에 편성되어 악가무 구성요소 중에 무용 요소를 크게 발전, 확장시키는 역할을 하였다. 또, 연행자의 뛰어난 재능과 결합하여 고깔소고춤, 채상소고춤의 장르와 계보를 형성시키기도 하였다. 특히 오늘날 소고를 들고 채상모를 돌리며 자반뒤집기, 연풍대 등의 역동적인 몸동작을 선보이는 채상소고잽이는 농악 공연의 시각적 공연성을 고양시키며 관람객의 큰 호응을 얻고 있다.
일반적으로 소고와 법고(또는 버꾸)는 같은 악기라고 인식되고 있으며 농악 역할 편성에서도 크게 변별되고 있지 않지만, 과거에는 소고와 버꾸를 구분해서 쓰기도 했다.
김영운, 『국악개론』, 음악세계, 2015. 문화원형디지털콘텐츠, 『문화원형백과 악학궤범』, 한국콘텐츠진흥원, 2003. 송혜진, 『한국악기』, 열화당, 2001.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1991.
양옥경(梁玉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