쇠, 깽쇠, 꽝쇠, 꽹매기, 깽매기, 깽가리, 소금(小金), 쟁(錚), 동고(銅鼓)
농악에서 쓰는 풍물(風物) 또는 사물놀이(四物놀이) 악기 중 하나로써 금속으로 만든 타악기
우리나라 전통 타악기로써, 놋쇠로 만든 곡면체(曲面體)의 금부(金部) 악기이자, 채로 두드려 소리 내는 체명(體明) 악기에 든다. 금속성의 강하고, 날카로운 음색을 내며 궁중음악, 불교음악, 민속음악에 두루 쓰인다. 궁중음악과 불교음악에서는 대체로 소금(小金)이란 이름으로 부르고, 민속음악에서는 대부분 쇠나 꽹과리, 꽹매기란 명칭으로 부른다. 이 악기는 농악에서 중심적인 리듬(가락)을 연주하며, 종합적인 예술요소로 판을 짜서 진행하는 농악 연행의 상징으로 여겨진다. 꽹과리를 들고 전체 공연 내용을 이끌어 가는 인물을 상쇠라고 부르는데 이는 큰 규모의 관현악 지휘자와 같은 역할이다.
조선 성종 때 편찬한 『악학궤범樂學軌範』 「정대업 의물도설」에 꽹과리 그림을 싣고 소금(小金)이라 기록하였다. 이 소금에는, 끈에 용두(龍頭)를 새기고 채색 손잡이를 달았으며 붉은 칠을 한 망치로 두드려 연주한 것으로 보인다. 『종묘의궤』, 『춘관통고』 악현에 의하면 소금이 《종묘제례악》 중 〈정대업〉에 편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조선시대 문헌 속 꽹과리는 쟁(錚), 동고(銅鼓) 등의 다른 한자로도 표기되었다. 조선시대에는 병조(兵曹) 산하 군기시(軍器寺)에서 관리하는 군기(軍器)였으며 군사들의 조련(調練)과 전쟁터에서 군사 신호용으로 활용되었다.(『정조실록』 참조) 『경세유표(經世遺表)』에는 군기의 제조와 관리에 대해 다음과 같은 상세한 설명이 실려있다. “『예기』에, ‘변면(弁冕)과 병기(兵器)는 사가(私家)에 간직하지 않는다.’라고 한바, 곧 병기는 사사로이 제조할 수 없다는 것이다. 옛 제도에 악(樂)을 짓고, 율(律)을 고찰할 수 있는 자는 천자였으며, 악기(樂器)도 사사로이 제조할 수 없었다. 그러나 병기와 악기를 다 그렇게 할 수 없고, 오직 구리(銅)로 만드는 물건만 사사로 만드는 것을 금단할 것이며, 요령(鉦)ㆍ소라(鑼)ㆍ꽹과리(鐃)ㆍ징(鐲)ㆍ나팔(喇叭) 등의 병기는 모두 전환서에서 만들도록 한다.”고 되어 있어 민간에서는 제작과 보관이 금기되어 있는 악기였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조선왕조실록』에는 억울한 사연을 지닌 백성이 왕이 거동하는 길목에서 이 악기를 두드리며 하소연하는 격쟁(擊錚) 실화를 여러 차례 기록하고 있다.
꽹과리는 음악공간과 지역에 따라 명칭과 크기, 제작 방법, 연주 방법 면에서 차이가 있다. 농악에서 쓰는 꽹과리는 징, 장구, 북과 묶여서 풍물 또는 풍장이란 이름으로 불렸다. 그 자체만을 지칭할 때는 지역 언어 전통에 따라 쇠나 깽가리, 깽쇠, 깽매기, 꽝쇠 등으로 다양하게 불렀다. 우리말에서 쇠는 금속(金屬) 물질을 포괄적으로 부르는 말이고, 꽹과리의 재질이 금속으로 되어 있어 그 명칭 또한 쇠라고 지칭하게 된 것이다. 꽹과리는 소리 음향과 둥근 모양에서 온 명칭이고, 꽹매기는 두드리고 막으면서 음향을 조절하는 연주법을 반영한 이름으로 보인다. 한편, 경상도 지역 불교 의식음악, 황해도와 평안도 등의 무속음악에서 쓰는 광쇠는 연주 방법과 모양 면에서 농악기의 꽹과리와 구분된다. ○ 제작 방법 꽹과리는 황동과 구리를 섞은 합금(合金) 소재로 만든다. 동그란 몸체에 끈을 달아 엄지와 검지 손가락에 걸쳐 고정시키고, 채로 두드려 소리낸다. 꽹과리 채는 박달나무로 깎은 둥근 머리를 대나무 뿌리로 만든 자루에 끼우고, 가죽이나 헝겊을 감아 손잡이를 만든 뒤 ‘너슬’이라고 부르는 천을 달아 완성한다. ○ 음역과 조율법 음고와 음색은 제작 방법과 연주법에 따라서 음고와 음색의 차이가 있다. 높고 카랑카랑한 소리가 나는 꽹과리를 숫꽹과리, 낮고 부드러운 소리가 나는 꽹과리를 암꽹과리로 여겨서 농악대 편성 시에 상쇠는 숫꽹과리를 사용하고 부쇠(행렬에서 상쇠 다음으로 서는 쇠잽이)는 암꽹과리를 사용하여 소리의 균형을 맞추는 관습이 넓게 퍼져 있다. ○ 구음과 표기법 손목의 유연한 움직임을 섬세하게 조절해가며 가락을 만들어 내는데, 악기의 성음을 입소리(口音)로 옮겨 부른다. 채를 두드리는 주법과 막쇠/막음새의 적절한 조절로 울려 나오는 소리의 성음을 흉내낸 입소리는 전승 집단의 지식 전통에 따라 다양하게 채록되고 있다. 가장 널리 쓰이는 대표적 입소리는 캔지갱, 깽지갱, 갠지갠, 깽매갱깽, 음매캥캥 등이 있다. 경상도 민요 〈쾌지나 칭칭나네〉의 ‘쾌지나 칭칭’도 역시 꽹과리 소리를 의성화 한 것으로 알려졌다. 악보로 표기할 때는 박의 시가와 한배에 맞게 그린 가로쓰기형 정간보 안에 구음을 한글로 옮겨 적거나, 막음없이 개방해서 치는 소리는 ‘○’, 악기 배면을 손가락으로 막고 치는 소리는 ‘●’ 또는 ‘◐’ 등의 기호를 써 적기도 한다.
<악보> 정읍농악 '풍년굿' 쇠가락
갱 | 갱 | 그라개 | 갱 | 갯 | 갱 | 갱 | 개개 | 읏그라 | 갱 | 갯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연주 방법과 기법 왼손 엄지와 검지를 기둥처럼 활용해 그 위에 악기를 걸치거나, 별도 끈을 달아 쓰는 경우는 두 손가락에 끈을 감아 연주자의 의지대로 연주할 수 있도록 고정시킨다.(오른손잡이 기준) 악기를 고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손가락을 뺀 나머지 손가락은 악기의 배면(背面)에 붙였다 뗐다 하는 ‘막쇠/막음쇠’ 주법을 써가며 악기의 음량, 음색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 연주 악곡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된 진주삼천포농악, 강릉농악, 평택농악, 이리농악, 임실필봉농악, 구례잔수농악, 김천빗내농악, 남원농악 등에 편성된다.
꽹과리와 유사한 악기가 동아시아에서 널리 분포하고 있지만, 우리나라처럼 이 악기를 중심으로 타악기 리듬 위주의 독자적인 예술양식을 구축하고 있는 경우는 찾아보기 어렵다. 우리나라에서 이 악기는 전통사회로부터 다양한 음악공간에서 활용되었고, 특히 민간 음악인 농악, 민요, 굿음악 등의 기층 민속음악에서 널리 활용되었다. 이 악기는 전통 기악(器樂)에서 타악기의 리듬 위주로 음악을 완성하는 농악에서 대표적인 악기이자 군대의 대장기(大將旗)에 비견되는 위상의 악기이다. 쇠를 연주하며 농악 공연의 전체를 지휘하는 공연자를 상쇠라고 하는데, 상쇠가 연주하는 꽹과리 가락(쇠가락)은 음악적 명령(命令)에 비유할 수 있다. 따라서 상쇠가 연주하는 꽹과리 가락은 곧 해당 농악의 음악적 면모와 특질을 나타낸다.
김영운, 『국악개론』, 음악세계, 2015. 문화원형디지털콘텐츠, 『문화원형백과 악학궤범』, 한국콘텐츠진흥원, 2003. 송혜진, 『한국악기』, 열화당, 2001.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1991.
양옥경(梁玉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