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각(螺角), 각(角), 바라(哱囉), 목대각, 목고동, 목나발, 목덩강, 땡각, 띙각, 영각, 농각, 박주라
기다란 원뿔 모양의 관의 취구에 입김을 불어 소리내는 관악기
고동은 농촌의 공동농업에서 신호용으로 사용하는 관악기이다. 고동은 본래 조개류 ‘고둥’의 방언으로 소라껍질로 만든 악기인 나각의 다른 이름이지만, 현재는 관악기 각(角)과 바라[哱囉] 계통의 악기를 지칭하는 용어로 쓰이게 되었다. 각과 바라는 우리나라 고대부터 군영에서 사용되는 관악기인데, 각의 형태는 여러 차례 변화과정을 거쳤고, 재료도 뿔[角]ㆍ나무[木]ㆍ은(銀)ㆍ동(銅) 등으로 다르며, 크기에 따라서 대ㆍ중ㆍ소로 구분되었다. 바라는 형태와 용도가 각과 유사하여 서로 동일시되는 경우가 있지만, 뿔로 만들어져 쥬라[朱囉]라고 불리기도 한다. 각과 바라는 손가락으로 막는 구멍이 없고 음정이 하나인 단성(單聲) 악기이다. 현재의 고동은 농악에서 사용되는 나무로 만든 각을 지칭한다.
고동은 우리나라에서 고대부터 사용하던 신호용 단음 관악기인 각과 바라 계통의 악기를 의미한다. 본래 고동이란 단어는 고둥의 방언으로 소라 껍데기를 의미하여, 자연산 소라를 가공해 만든 나각의 다른 이름으로도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각과 바라 계통의 악기를 지칭한다.
각(角)은 고대부터 군영에서 사용한 악기이다. 주로 북과 함께 연주된 기록이 있다. 고구려 고분인 덕흥리 고분 벽화의 행렬도에 말을 타고 길게 구부러진 형태의 각을 연주하는 이의 모습을 볼 수 있는데, 두 명으로 구성된 기마 악대는 북[鼓]과 각(角) 편성을 이룬다.
『삼국사기』 「고구려본기」에 고구려와 이웃했던 낙랑군에 적병이 오면 저절로 우는 북[鼓]과 각(角)이 등장하기도 하며, 『삼국사기』 「잡지」에도 백제의 악기로 소개된 11종의 악기에 북[鼓]과 각(角)이 포함된다. 고려시대 의종대에도 임금 행차 행렬인 의위(儀衛) 노부(鹵簿)에 취각군(吹角軍)이 있어 각을 연주했음이 드러나며, 조선시대에도 각은 군영의 지휘와 통신에 사용되었다. 이에 대하여, 조선 전기 왕실의 의식 절차와 의례를 규정한 『국조오례서례』의 「군례」에는 중국 송나라 유서(類書)인 『사물기원(事物紀原)』에 근거하여 ‘황제가 치우(蚩尤)와 싸울 때 각(角)을 불어 용의 울음소리를 내도록 하여 적을 방어하였다.’라고 하며, 각이 군영에서 사용된 유래를 설명하였다. 조선시대에는 변란이나 정변 등 긴급한 사변이 있을 때 각을 불어 한성에 있는 관원이나 군사를 대궐 앞에 모이게 하는 제도로 취각령(吹角令)이 있었고, 어두운 밤에 기(旗)의 빛깔을 분변하지 못하면 군의 각(角) 소리를 듣고 모이는데, 중군은 대각(大角)을 불고, 좌군은 중각(中角)을 불고, 우군(右軍)은 소각(小角)을 불고, 다 모이면 각(角) 부는 것을 그쳤다.
한편, 조선 세조대 이후에는 군례용으로 사용되던 악기가 정대업지무(定大業之舞)를 출 때 의물로 활용되기도 하였다. 『악학궤범』 권8 ‘정대업 정재의물도설’에는 대각의 그림, 규격, 재료 등이 상세히 소개되어 있는데, 대각은 기다란 자루에 나팔 모양의 입이 있는 모습이다. 은(銀)을 두드려 만들며, 제향에 쓰는 것은 나무로 만들어 붉게 칠한다고 하였다. 대각은 자루의 길이가 2척 6촌, 소각은 2척 4촌으로 소개되었다.
조선 후기에 군대의 조련과 전쟁에서 군대를 지휘ㆍ통솔하는 방법을 명시한 『병학지남』의 해설서 『병학지남연의』에서는 야간에 순라군(巡邏軍)의 출동을 명령하는 신호로 각을 북과 함께 사용한다고 하였고, 『춘관통고』에서는 조선시대에 왕이 직접 참관한 대규모 군사 의례인 대열의(大閱儀) 때 각 영(營)의 대장을 불러 일어나 오고 물러나는 명령에 대각을 불어 신호한다고 하였다. 나라의 군정(軍政)과 재정(財政)을 설명한 책 『만기요람』에 군기의 종류로 나발, 목대각, 동대각 등이 나란히 제시되어 이들이 함께 쓰였음을 알 수 있으며, 1895년 군영이 해체된 이후 동대각은 나발로 흡수ㆍ대체되었고, 목대각은 민간으로 전승되어 현재까지 전한다. 현재의 목대각은 농악에서 모이라는 신호를 할 때 사용하며, 지역별로 부르는 이름과 악기 제작 방법이 다른데, 경상북도 청도의 《차산농악》에서는 고동, 대구 수성의 《고산농악》에서는 목덩강 또는 땡각, 띙각, 《욱수농악》에서는 목나발, 부산 수영에서는 영각(令角), 동래에서는 농각, 경상남도 《마산농악》에서는 죽고동 또는 목고동이라 한다. 북한에서는 박주라라고 부른다.
○ 구조와 형태 고동의 구조는 크게 나팔, 관, 취구의 세 부분으로 구분된다. 취구 쪽은 가늘고, 끝부분으로 가면서 차차 굵어지며 맨 끝은 나팔꽃처럼 퍼지는 형태이다. 긴 대나무 관에 한쪽은 오동나무를 깎은 나팔을 꽂고, 다른 쪽 취공에는 얇은 대나무 취구를 꽂는다. 관에는 손가락으로 막고 여는 구멍이 없다. ○ 음역과 조율법 음역은 지공이 없어서 단음의 배음에 해당하며, 취구에 댄 입술로 음의 강약과 고저를 조절한다. ○ 연주 방법과 기법 고동은 오른손으로 취구 가까이 관을 쥐고, 왼팔은 뻗어 관의 아랫부분을 받치고, 취구에 입술을 대고 입김을 힘껏 불어 소리를 낸다. 선율을 연주하지 않고 기음(氣音)만으로 효과를 내는데, 소리를 불 때에 나팔이 윗 방향을 향하도록 받쳐 든다.
○ 연주악곡 《청도차산농악》, 《고산농악》, 《욱수농악》, 《마산농청놀이》 ○ 제작 및 관리 방법 오동나무를 깎아 한쪽은 굵고 다른 쪽은 가는 나팔을 만든다. 관대는 굵은 대나무를 반으로 쪼개어 안에 마디를 제거한 다음 다시 합치고 바깥 부분을 새끼줄로 감아 만든다. 관 한쪽에는 관을 꽂고, 다른 쪽 관 끝마디에 취공을 뚫고 얇은 대나무의 취구를 꽂는다. 나무의 쪼개진 빈틈으로 공기가 새어 소리가 나지 않을 수 있으므로, 물에 담가 나무가 불어 빈틈이 메워지게 한다. 나팔, 관, 취구를 구분하지 않고 오동나무를 깎아 통째로 만들기도 한다.
조선 후기까지 군영에서 목대각과 동대각이 사용되었는데, 나발이 동대각의 기능을 흡수하였고, 목대각이 민간에 전해져 농촌지역에서 두레 작업을 할 때 시각을 알리는 신호용으로 쓰이다가 현재는 농악에서 모이라는 신호로 사용된다. 경상도에서만 사용되는 특징이 있고, 지방마다 고동, 영각, 농각, 땡각 등 다른 이름으로 불린다. 손가락으로 막는 구멍이 없어 한 음정만 나는 고동은 낮고 길게 뻗어 울리는 소리의 특징이 있다. 전통사회에서 군영의 통신ㆍ신호용으로 사용되던 목대각이 민간의 악기로 전승되어 고대 악기 각의 전통을 전승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삼국사기』 『세종실록』 『국조오례의서례』 『악학궤범』 이숙희, 『조선후기 군영악대 취고수ㆍ세악수ㆍ내취』, 태학사, 2007. 김영운, 「한국 토속악기의 악기론적 연구」, 『한국음악연구』 17·18, 한국국악학회,1989 이숙희, 「농악 악기편성 성립의 배경과 시기에 관한 연구」, 『한국음악연구』 54, 2013.
오지혜(吳䝷慧)