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금(小金), 소쟁(小錚), 괭매기, 꽹과리, 꽹매기, 쇠, 꽝쇠, 깽쇠
불교의 의식ㆍ의례를 행할 때 꽹과리를 나무에 묶어 채로 쳐서 연주하는 법구(法具)
불교 의식ㆍ의례를 행할 때 쓰는 법구로 흔히 알려진 꽹과리를 일컫는다. 일반적인 꽹과리는 몸체를 한 손에 들고 다른 한 손에 채를 들어 손가락으로 뒤를 막거나 열면서 연주하지만, 광쇠는 대나무를 전체 둘레 모양에 맞춰 휘어지게 한 다음 두 개의 구멍에 몸체를 묶어 고정해 연주한다.
서울에서는 식당작법(食堂作法)을 행할 때 재회(齋會) 진행 전반을 조율하는 당좌(堂佐) 소임자가 연주하는 경우가 유일하지만 부산ㆍ창원ㆍ김해ㆍ진주ㆍ고성 등에서 진행하는 전통 재회, 특히 바라와 나비 무용 등이 더해지는 재회에서는 필수적인 악기로 꼽히며 소리 중심의 범패(梵唄)를 진행하는 과정에서도 역시 광쇠의 반주를 중요하게 여긴다.
불교에서 언제부터 꽹과리를 사용해 왔는지는 알려진 바가 없다. 다만 불교가 이 땅에 유입되는 시점과 맞물려 불교의 사물(四物)ㆍ법고(法鼓)ㆍ목어(木魚)ㆍ운판(雲版)ㆍ범종(梵鐘)이 전해졌고, 이 중에서 운판은 허공 중생을 제도하는 의미를 지니며, 가르침을 확대하는 과정에서 징(鉦)과 함께 쓰였을 것으로 본다. 전통적으로 불교에서 연주해 온 악기는 당시 널리 유통되던 악기를 활용한 것으로 드러나는데, 명라(鳴螺)와 취라(吹螺), 장구, 바라, 작은 종, 작은 북 등이 이에 해당하고 꽹과리 역시 허공 중생을 제도한다는 신앙적 믿음이 더해져 의식과 의례에서 두루 쓰였을 가능성이 크다. 과거엔 〈착복무(着服舞: 나비무)〉를 할 때 직접 손에 들고 춤을 췄던 모습이 〈도화(圖畫: 감로탱화)〉에 전해지지만, 현재는 소리와 무용의 반주 악기로만 쓰인다.
○ 구조와 형태 꽹과리는 놋쇠를 주원료로 삼아 손바닥보다 크게 제작한다. 불교에서 연주하는 꽹과리를 “광쇠”라고 칭하는데 이는 ‘꽹과리보다 조금 크고 징보다는 조금 작은 쇠’를 의미한다. 보통의 꽹과리를 손에 직접 들고 연주하는 것과 달리, 광쇠는 대나무에 악기를 묶어 매고 얼굴 높이까지 들어 공이가 달린 채로 연주한다. 예전에는 전국 어디서나 의식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광쇠를 사용한 것으로 예상되는데, 광쇠를 손에 들고 〈나비춤〉을 추는 모습이 담긴 〈감로탱화〉가 전해지는 점으로 미루어, 각종 분야에 광범위하게 쓰였을 가능성이 크다.
현재에는 경남지역, 특히 부산과 창원을 중심으로 활동하는 어산승(魚山僧)이 소리와 무용을 진행할 때 주로 반주한다. 징은 부피가 크고 무거워 장단을 표현하는 데 한계가 있지만, 광쇠는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고 가벼워 휴대하기 편하고 가늘고 긴 채로 연주하는 특징이 있어 화려한 장단을 표현하는 데도 무리 없다. ○ 음역과 조율법 광쇠는 악기마다 음역의 차이를 보이고 이에 따른 연주법도 연주자의 성향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 일정하게 통일된 조율법을 가지고 있지 않다. ○ 연주방법과 기법 꽹과리의 둥글고 납작한 면을 왼손에 들고 오른손 채로 두드리며 왼손 손가락으로 뒷면을 막아 소리의 여운을 조절한다. 풍물과 사물놀이, 무속음악에서는 화려한 장단을 구사하며, 속도와 리듬을 조절해 전체적인 흐름을 이끄는 역할을 한다. 한민족의 삶과 함께해 온 만큼 전국적으로 널리 연주되고 있으며 여기에 지역적 특성이 가미되어 다양한 장단과 기교가 전해진다. 불교에서 연주하는 광쇠 역시 꽹과리의 장점을 포용해 의식에 활용하며 법구(法具)로 발전한 것으로 보인다. 한 손에 길고 가는 채를 쥐고 점점 빠르고 작게 마무리하는, 아첼레란도(accelerando)와 같은 형식의 연주를 반복하거나 소리와 속도를 조절하며 자진모리장단을 구사하기도 한다. 다만, 같은 경남지역에서도 부산과 마산 그 외 지역과 연주자에 따라 연주법이 다른 특징을 보인다. 목탁, 징, 북과 함께 합주하는 광쇠는 화려한 기교가 더해져 의식 진행의 수준을 높이는 데 이바지한다. 의례를 진행할 때 징은 한 명이 연주하더라도 광쇠만큼은 다수가 함께 연주한다. 복수의 어산승이 각자의 광쇠로 가지게(加持偈)로부터 회향(廻向)에 이르는 권공(勸供)을 진행하거나 천수바라 등에서 보여주는 다양한 표현은 광쇠의 음악적 효과를 확인하기 충분하다. 광쇠의 연주 관행은 다음과 같다. - 독주일 경우: 대중의 염불 소리에 맞춰 일자일타(一字一打)로 다함께 경전을 염송(念誦)하도록 연주하고, 부처의 명호(名號)를 소리하는 정근(精勤)을 진행할 때도 속도와 리듬을 조절해 개인의 역량에 따라 화려한 장단을 섞기도 한다. - 합주일 경우: 징, 북과 같이 연주할 땐 기본 장단에 잔가락을 더해 흥을 더하고 무용을 반주할 때는 소리와 무용이 어우러지도록 기교를 섞기도 한다. 어산(魚山)ㆍ범음(梵音)ㆍ범패(梵唄)의 소리를 돋우는 가교의 역할과 재회가 진행되는 과정에서는 대중에게 신호하며 흐름을 이끈다. 광쇠 연주에 있어, 공이가 달린 채의 강도와 속도를 현장 상황에 따라 다르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연주자의 의도를 대중에게 전하기 위해 채의 강도를 조절하는 경우가 많은데 의식을 주도하는 법주(法主: 감독)가 강도를 달리하며 의례를 이끌어 가는 것이 그 예다. 가끔 상황에 따라 악기를 묶은 대나무와 줄을 활용해 광쇠 자체를 자유자재로 돌려가며 연주하는 모습도 연출하는 등 다양한 기법을 선보인다.
불교의 의식과 의례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연주하는 광쇠는, 과거에 〈나비춤〉을 출 때 직접 손에 들고 행했을 만큼 대중적인 법구였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현재는 경상남도 일부 지역, 특히 조계종을 제외한 종파에서 반주 악기로 활용하는 데 그친다. 경남지역에서 전승하는 전통 재회 과정에서 소리와 무용을 반주하며 대중을 선도하고 의식 전반을 조율하는 역할로 그 쓰임이 다양하다. 때로는 수준 높은 장단을 섞어 소리와 어울림을 주도하고 경쾌한 리듬으로 무용의 아름다움을 극대화한다. 광쇠는 민중과 함께해 온 대중불교의 모습을 엿볼 수 있는 악기이며 지역과 계층을 넘어 다 함께 포용한, 불교의 소중한 유산이기도 하다.
혜일명조, 『법고』, 에세이퍼블리싱, 2011. 혜일명조, 『수륙재』, 도서출판 일성, 2013. 혜일명조, 『시련』, 민속원, 2016. 경화, 「광쇠」, 『불찬의례자료집』 5, 불찬범음의례연구소, 2022.
혜일명조(慧日明照)