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창오광대(漕倉五廣大)
경상남도 사천시 축동면 가산리에 전승하는 탈놀이
경상남도 낙동강 일대에서 발달한 《오광대 탈놀이》 중 사천지역의 가산리에 전하는 탈놀이다. 정월대보름에 행해지며, 정월달 초에 《지신밟기》를 하고 대보름날 저녁에 조창 앞마당에서 《오광대 탈놀이》를 했다고 한다. 전체 6과장으로 진행된다.
탈놀이의 유래와 역사는 가산리의 구전자료에 근거하여 추정할 수 있다. 가산리 노인들의 증언에 의하면 가산리의 탈놀이 역사가 약 200~300여 년 되었다고 한다. 그 유래와 관련하여서는 구전자료와 이를 뒷받침하는 일부의 유물만이 전해지고 있으며, 여러 가지 설(說)이 전해진다. 유래는 다음의 네 가지 설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낙동강의 줄기인 경남 합천 초계 밤마리(율지리)에서 배워왔다는 설, 둘째, 남강 지류에 떠내려온 궤짝 안에 탈과 놀이의 대사가 적힌 두루마리 문서 및 의상과 소도구 등이 있어서 이후에 이를 활용하여 놀았다는 설, 셋째, 조창(漕倉) 지역에 큰 장에서 놀이가 시작했다는 설, 넷째, 인근 지역인 진주오광대에서 배워왔다는 설이 있다.
네 가지 유래설 어떤 것이 가장 유력한지는 단언하기 어렵다. 다만 첫 번째와 두 번째 유래설은 합천 초계 밤마리와 연관되어 있으며, ‘궤짝이 떠내려왔다’는 형태가 인근 지역의 탈놀이 유래와 유사하다.
세 번째 유래담은 1760년에 가산에 조창이 설치되어 가산오광대를 ‘조창오광대’로도 불렀다는 사실에 근거한 것이다. 이는 물길을 통해 조성된 경제적 기반이 탈놀이를 둘러싼 환경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는 견해로 네 번째 유래와도 연관된다. 조성리 인근에는 진주(晋州)ㆍ곤양(昆陽)ㆍ남해(南海)ㆍ사천(泗川)ㆍ하동(河東)ㆍ단성(丹城)ㆍ고성(固城) 등 7개 군에 조창이 있었고, 그중 《진주오광대》와 그 내용이 유사하다는 점이 네 번째 유래를 뒷받침하는 근거가 된다.
○ 역사적 변천 과정
가산오광대의 전승과 관련하여 문헌자료를 찾는 것은 어려우나 구전자료를 통해 그 유래와 변천과정을 확인할 수 있다. 구전에 따르면 경상남도 일대의 오광대와 야류는 경남 합천 초계 밤마리 대광대패의 탈놀이와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전한다. 내용과 형식 측면에서 가산오광대와 공통점이 많은 《진주오광대》가 1880년 무렵 의령군 신반리 대광대패로부터 가면극을 배워왔다는 사실에 비추어볼 때, 가산오광대의 성립시기도 그 무렵으로 추정된다. 초계 밤마리 대광대패 탈놀이의 형태는 전해지지 않고 있으나 가산오광대와 《진주오광대》에서 보이는 〈오방신장무과장〉과 〈문둥이과장〉, 〈영감ㆍ할미과장〉의 진오귀굿 등이 그 원형을 짐작해볼 수 있다.
가산리에서는 정월달이 되면 초이틀부터 보름전날까지 매구꾼들이 마을을 돌며 《지신밟기》를 했다고 전한다. 정월대보름에는 조창 앞마당에서 오광대 탈놀이를 시작하여 16일에는 마을 대동회를 열었다고 한다. 가산리의 조창은 조선시대에 진주ㆍ곤양ㆍ남해ㆍ사천ㆍ하동ㆍ단성ㆍ고성 등 인근 7개 군의 조곡을 징수하여 서해를 통해 제물포까지 운반하던 항구였다. 이에 가산오광대를 달리 ‘조창오광대’로 불렀다고 한다.
1960년대 초반까지 같은 형태로 전승되어 온 것으로 확인된다. 《지신밟기》와 《오광대놀이》에서 발생한 수익은 마을대동회를 통해 정산해서 마을의 공동자금으로 사용했다고 한다. 이러한 마을공동자금의 활용의 사례로 일제강점기에 3ㆍ1 운동 이후 야학을 건립해서 문맹퇴치운동을 벌였던 것을 들 수 있다.
1960년대 중반 이후에는 《오광대놀이》의 전승이 중단되었으나 천룡제와 《지신밟기》 전통은 지속되었던 것으로 확인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1971년에 부산지역 민속학자 강용권(康龍權)이 ‘가산오광대연희본’을 채록하였는데, 이후 이를 바탕으로 1974년 서강대 민속문화연구회에서 가산 주민들과 함께 복원에 착수하였다. 복원과정에서 여러 차례 채록본이 정리되어 일정한 변화과정을 확인할 수 있다. 내용상에서의 큰 변화는 없으나 한자 고사성어 사용에 대한 문제, 지역 발음을 표준어로 표현하는 문제 등이 발생하였다. 가산오광대 연희본으로 『강용권 본』(1971 채록), 『서강대 민속문화연구회 본』(1974년 채록), 『이두현 본』, 『탈춤대사집 본』(연행본), 『전경욱 본』 등이 있다.
○ 연행 시기와 장소
가산오광대는 가산리의 정월 세시풍속과 연계하여 연행되었다. 가산리에서는 매년 음력 정월달에 초하룻날 당산(堂山) 천룡제(天龍祭)를 지낸다. 음력 12월 중순 경부터 마을회의를 통해 당산제를 준비하고, 정월초하루 당일에 당산 천룡제를 지낸 후 방갈샘과 너머샘에 그리고 마을 입구 벅수에 제를 지낸다. 천룡제를 마친 2일부터 14일까지는 마을 매구꾼(농악패)들이 마을의 가가호호를 방문하는 《지신밟기》를 여러 날 동안 진행한다. 정월대보름날 초저녁에는 오광대놀이의 시작을 알리는 ‘조창오광대’라고 쓴 깃발을 앞세우고 말뚝이, 양반, 무당, 농악대의 순서대로 마을을 도는 길놀이를 한다.
가산오광대는 조창 앞마당에서 행해졌는데, 당시 가산리 일대는 약 삼백 호가 거주하는 대취락지로 큰 시장이 섰던 지역이라고 한다. 정월대보름 이후에는 마을 놀이패들이 구해창, 제미창, 사남면, 초전리, 용해면, 선진리, 사천읍, 곤양면, 한덕, 곤면, 완사 등의 인근 지역으로 공연을 다녀왔다고 전한다.
○ 음악적 특징
가산오광대는 매구패 즉 꽹과리(쇠), 징, 북, 장구가 반주를 맡는다. 태평소와 징은 《파지굿》에서 〈덧뵈기춤〉을 출 때만 사용된다. 대부분의 장면에서는 타악기만을 사용하여 3소박 4박의 굿거리장단을 중심으로 반주하는 특징이 있다.
《파지굿》의 춤 반주로 사용하는 굿거리장단은 경상도지역 〈덧뵈기춤〉의 독자적인 맛을 표현한다. 굿거리장단의 세 번째 박을 강하게 연주하여 어깨춤의 느낌을 살리며, 춤에 따르는 장단의 특징을 보여준다.
삽입가요의 경우 각 곡의 음악적 특징을 그대로 갖추어서 표현하지만 대체로 경상도 지역 특유의 음악적 특징이 강하게 표현된다.
○ 절차 및 주요 내용
전체 6개의 과장으로 구성되며, 제1과장 〈오방신장무(五方神將舞)〉, 제2과장 〈영노〉, 제3과장 〈문둥이〉, 제4과장 〈양반〉, 제5과장 〈중〉, 제6과장 〈할미ㆍ영감〉의 순서로 진행된다.
제1과장 〈오방신장무(오방신장마당)〉에서는 중앙황제장군(양반)을 중심으로 동방청제장군ㆍ서방백제장군ㆍ남방적제장군ㆍ북방흑제장군이 벽사의식무를 춘다. 이때 오방신장은 서울에서 유람하러 내려온 양반으로 설정된다. 제의적 탈놀이가 오락적 탈놀이로 변모하는 중간 단계가 확인된다.
제2과장 〈영노(영노마당)〉는 사자 모양의 영노가 ‘비-비’소리를 내며 등장하여, 양반(오방신장)을 잡아먹고 돌아다니다가 마지막에 황제장군을 잡아먹는다. 포수의 등장 이후 영노는 포수와 대치하다가 총에 맞아 죽게 된다. 이는 《통영오광대》의 〈사자무과장〉과 유사하다.
제3과장 〈문둥이(문둥이마당)〉는 절름발이, 입찌그랭이, 곰배팔, 언챙이, 코빠진놈의 다섯 문둥이가 등장해서 비참한 생활상을 표현한다. 눈ㆍ코ㆍ귀ㆍ입ㆍ팔ㆍ다리 등이 심하게 상한 문둥이의 형상을 보여주고 〈병신춤〉과 〈장타령〉을 부르거나 투전을 한다. 투전판에서는 어딩이가 개평을 갖겠다는 고집을 부리다가 얻어맞는데, 화가 난 어딩이가 고발을 하게 된다. 이후 곧 포졸이 문둥이를 모두 잡아간다.
제4과장은 〈양반(양반마당)〉은 말뚝이가 재담으로 양반을 희롱한다. 양반과 두 아들이 나와서 춤을 추고 있을 때 하인인 말뚝이가 문안을 드린다면서 양반을 돼지에 비유하고, 양반의 마누라를 배 위에 싣고 더덩실 춤을 추는 등의 행위로 양반을 모독한다. 말뚝이의 외설스러운 말을 통해 양반의 허위의식과 무능력을 폭로한다.
제5과장 〈중(중마당)〉은 파계승을 고발하는 것이다. 노장이 양반의 애첩인 서울애기를 유혹해서 업고 달아난다. 양반들은 말뚝이에게 노장을 잡아오라고 명을 내리고, 잡혀 온 노장을 매를 때린다. 노장은 〈음양타령〉과 여러 단가를 부르며 신세한탄을 하고, 굴갓ㆍ염주ㆍ죽장 그리고 마지막에는 가면까지 벗고 승려 생활을 그만둔다.
제6과장 〈할미ㆍ영감(할미ㆍ영감마당)〉은 헤어졌던 영감과 할미가 다시 만나는 내용이다. 헤어졌던 영감은 서울애기를 첩으로 데리고 나타나고 할미는 아들 마당쇠를 데리고 들어와 외설스러운 대화를 주고받는다. 영감과 할미는 재산 분배를 놓고 집안 물건을 부수다가 조상단지를 깨어 동티가 나서 영감이 쓰러진다. 옹생원을 불러 독경을 해도 효험이 없어 죽게 되며, 무당을 불러 《오구굿》을 한다.
모든 놀이를 마치면 연희자와 관객이 어우러지는 ‘《파지굿》’에서 춤이 펼쳐진다. 이때 대동놀이로 〈덧배기춤〉이 추어진다.
○ 등장인물의 탈과 의상 구성
등장인물은 황제장군, 동방청제장군, 북방흑제장군, 서방백제장군, 남방적제장군, 영노, 양반(영감 겸용), 작은 양반들 2명, 말뚝이, 문둥이 1(도문둥이, 절름발이), 문둥이 2(입찌그랭이, 곰배팔이), 문둥이 3(코빠진놈), 문둥이 4(눈찌그랭이), 문둥이 5(귀빠진 놈), 어딩이, 손님하는 아이, 중(노장), 상좌, 서울애기(서울댁), 소무, 할미, 마당쇠, 옹생원(봉사 1 겸용), 봉사 2, 큰무당, 작은 무당들(오무당), 포수, 몰이꾼, 의원이다.
탈은 종이, 대나무, 바가지의 세 가지 재료로 만들며 대체로 종이로 만들어진 것을 사용한다. 총 32개의 탈이 있는데, 바가지탈 7개와 대나무로 만든 영노탈 외에는 모두 종이탈을 사용한다. 종이탈을 두터운 평면의 종이에 그림을 그리고 얼굴 모양대로 잘라 그 중간을 접어 만든다. 옹생원 탈과 봉사탈은 혼용한다.
탈춤을 끝낸 후에도 탈은 계속 보존해서 사용했고, 상한 탈은 고쳐서 활용했다. 탈에 그림을 그리는 사람은 별도로 정해져 있지 않고, 모든 연행자가 함께 참여했다. 1974년 복원 당시 순사, 포수, 몰이꾼, 의원, 대잡이의 배역은 탈을 쓰지 않았으나 현재 모두 탈을 만들어서 쓴다.
의상은 원래부터 일상생활에 쓰던 것을 입었으며, 각자 집에서 빌려와서 사용했다.
○ 악곡 구성
반주는 매구패들이 연행하는 것이므로 일반적인 농악대의 구성과 같다. 반주악기는 꽹과리(쇠)ㆍ징ㆍ북ㆍ장구 등이며, 태평소가 함께 연주한다. 춤은 〈덧뵈기춤〉이 주로 쓰이는데, 징과 꽹과리는 《파지굿》에서 〈덧뵈기춤〉의 반주할 때만 사용한다. 장단은 굿거리가 주로 사용되고 자진모리 장단 또한 다수 구성된다.
가산오광대 연행 중에 가창하는 노래로는 삽입가요와 등장인물의 상황에 맞게 짧게 가창하는 노래로 구분할 수 있다. 삽입가요로는 〈문둥이과장〉에서 문둥이들이 교환창으로 부르는 〈장타령〉과 합창으로 부르는 〈투전불림〉이 있다. 또한 〈중과장〉에 중이 〈농부가〉ㆍ〈진농부가〉ㆍ《춘향가》ㆍ《심청가》ㆍ〈소상팔경〉 등을 가창한다. 이때는 대개 〈진농부가〉로 마무리하는 경우가 많다. 이외에도 〈할미ㆍ영감마당〉에서 죽은 영감을 살리기 위해 옹생원이 부르는 〈불성명당신조경〉과 《오구굿》을 하는 무당들의 굿소리와 염불 등이 있다.
가산오광대는 경상남도 지역 오광대와 야류의 가장 오래된 형태를 짐작할 수 있는 자료로서 가치가 높다. 한편 제2과장 〈영노과장〉에서는 가산오광대만의 특징이 가장 잘 드러난다. 영노가 사자의 형상을 하고 있는 점은 영남 지역 탈놀이와 차별화되는 지점이라고 할 수 있으며, 〈영노과장〉의 대사가 정체확인형식으로 진행된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또한 제3과장 〈문둥이과장〉에 절름발이, 입찌그랭이, 곰배팔, 언챙이, 코빠진놈 등 다섯 명의 문둥이가 등장하는 점이 여타 오광대나 야류에 등장하는 문둥이와 다르다. 제6과장 〈할미ㆍ영감과장〉에서 두 사람의 갈등의 결과로 영감이 죽는 결말로 내용이 설정되어 있는 점은 가산오광대와 《김해오광대》에만 나타나는 현상이다. 영감이 죽으면 《오구굿》을 하는 점 또한 특별하다. 또한 뒷풀이로 ‘《파지굿》’이 있어서 흥겨운 대동놀이의 성격을 유지하고 있다. 1960년대 초반까지 전승되었다가 중단된 것을 1970년대 초중반에 다시 복원하여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국가무형문화재(1980) 경상남도 무형문화재(1974) 한국의 탈춤: 인류무형문화유산 대표 목록(2022)
『무형문화재 이야기 여행』, 문화재청, 2016. 『서강(西江)』, 서강대학교, 1976. 『중요무형문화재 제73호 가산오광대』, 국립문화재연구소, 2004. 『(중요무형문화재) 탈춤대사집』, 한국문화재보호협회, l981. 강용권, 『야유오광대』, 형설출판사, 1977. 정상박, 『오광대와 들놀음 연구』, 집문당, 1986. 강용권, 「가산오광대의 특성」, 『국어국문학』 55ㆍ57 합병호, l972. 이두현, 「가산오광대」, 『한국연극』, 한국연극학회. 1977. 전경욱, 「가산오광대 연희본」, 『한국민속학』 27, 1995. 이달균, 「[문인이 만난 우리 시대의 명인](21) 국가무형문화재 제73호 가산오광대 보유자 한우성」, 『경남신문』, 2022.09.30. (http://www.knnews.co.kr/news/articleView.php?idxno=1386902) 문화재청국가문화유산포털 https://www.heritage.go.kr 한국민족문화대백과 http://encykorea.aks.ac.kr/
김은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