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덕담, 덕담, 고사염불
마을 농악대가 고사(告祀)를 지내며 부르는 노래
섣달그믐 액막이 목적의 고사(告祀) 때는 오방지신(五方地神)을 누르거나 혹은 오방신장(五方神將)이 각각의 방위에서 들어오는 액을 막는 내용을 주로 노래하였다. 가신(家神) 관념의 확립과 함께 《도당굿》에서 창우집단에 의해 마련된 ‘〈산세풀이〉+축원’의 형태에서 고사덕담유형이 만들어졌고, 낙성연 등에서 〈독경무〉 및 농악대에 의해 마련된 성주풀이 서사형(敍事形)에서 성주풀이유형이 만들어졌다. 이후 의례 담당층 및 구연 상황의 변화로 인해 여러 가지 형태의 고사(告祀)소리 및 관련 민요가 생겨났다.
농악대가 주재하는 〈매굿〉, 〈매구〉, 〈지신밟기〉의 출발점은 고대 벽사제의인 매악(韎樂)이다. 고려말, 조선 초에 행해진 〈매굿〉의 기능은 그믐에 잡귀 잡신 쫓아내기, 집안의 토신(土神), 즉 지신(地神) 누르기였다. 세습무집단에서 마을농악대로 의례 담당층이 변화하고, 오방지신(五方地神) 관념의 영향으로 인해 현재의 농악대 진행 〈지신밟기〉가 생성되었다.
가장 오래된 〈지신밟기〉는 전북 임실ㆍ김제ㆍ부안 등에서 나타나는 형태로, 그믐에 〈당산굿〉을 지낸 뒤 농악대가 집돌이를 하면서 〈매굿〉을 치고, 다시 정초에 〈당산굿〉과 집돌이를 반복하는 것이다. 다음에 생겨난 형태는 경북 영양에서 조사되었다. 그믐날 밤에 농악대가 당나무에 서낭기를 기대어 놓고 농악을 쳐서 서낭기에 서낭신을 받은 뒤 정월 초사흘부터 닷새까지 서낭기를 앞세우고 〈지신밟기〉를 하는 것이다. 그믐날 밤에 서낭기에 서낭신을 받는다는 점에서 애초에 전북의 여러 곳과 같은 형태였다가, 그믐 집돌이가 없어지고 정초의 〈지신밟기〉만 남게 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세 번째는 전국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으로, 그믐 밤에 벌이는 〈매굿〉의 흔적은 완전히 사라지고 정초 〈지신밟기〉만 하는 사례이다.
《성주굿》 고사(告祀)소리는 소반에 대주(大主)의 수저를 꽂은 쌀, 그 옆에 명주실, 촛불, 북어포 등을 차려놓고 대청마루 앞에서 구연된다. 집안 곳곳에서 부르는 고사소리 중 사설 구성이 가장 뛰어난 《성주굿》 고사소리의 지역별 특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서울ㆍ경기지역에서 소리 서두에 노래하는 〈산세(山勢)풀이〉는 ‘이씨 한양’이 세워지면서 시작된다. 산세가 이 시점으로 설정된 이유는 나라의 임금님과 가옥 최고신인 성주신, 그리고 집안 가장의 위치를 동등하게 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이 소리의 신성성과 권위를 높이기 위해서이다.
강원지역 《성주굿》 고사소리에서는 《액막이타령》 중 하나인 〈호구역살풀이〉 소재 〈호구신 노정기〉가 다양하게 노래되었다. 근세에 들어 의료 체계가 개선되면서 홍역은 더 이상 옛날과 같이 무서운 병이 아니게 되었고, 마마신의 위상은 약해질 수밖에 없었다. 이러한 호구신의 위상 변화로 말미암아 일부 가창자들은 마마신이 아닌, 부처가 오는 것으로 〈호구 노정기〉를 노래하기도 하고, 가정 축원을 노래하는 자리에서 아들의 과거급제 노정기로 바꾸어 구연하기도 하였다. 액막이 목적으로 쓰이던 〈호구 노정기〉가 가정 축원으로 변화되는 것은 〈지신밟기〉의 성격 변화와 맥을 같이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호남지역에서 채록된 〈산세풀이〉는 서울 경기지역의 이씨 한양에서 시작되는 산세가 시작되는 자료들과는 달리, 〈산세풀이〉에 앞서 〈천지조판〉과 〈치국잡기〉 등이 순차적으로 노래되었다. 〈산세풀이〉는 기본적으로 현재 노래되는 곳에 좋은 기운이 이어져 집이 잘되는 기반 역할을 하기 위해 불린다. 그런 점에서 호남지역에서 채록된 〈산세풀이〉 자료들은 명기(明氣)의 흐름 외에 산세의 기원을 처음부터 노래한다는 점에서 소리 자체의 제의성을 확보하는 면모도 가진다.
영남지역 《성주굿》 고사소리 중에서는 성주신의 내력을 서사(敍事)로 노래하는 자료들이 있다. 이 자료들은 공통적으로 성주의 혈통 및 기이한 출생, 비범한 능력, 고난, 복귀, 좌정의 공통 서사 단락이 나타나며, 이들 자료에서 〈성주 본(本)풀이〉는 성주신의 배경 및 솔씨를 뿌려 집을 짓게 된 이유 등을 제시함으로써 소리 자체의 제의적 성격을 고양시키는 역할을 하였다. 그리고 이 지역 《성주굿》 고사소리 중에는 성주 관련 서사가 생략되면서 성주가 뿌린 솔씨로 집을 짓거나 이 집 자손이나 가축에 대한 축원이 부각되는 소리가 다수 발견된다. 이렇게 같은 〈성주풀이〉라 하더라도 강조하고자 하는 바에 따라 소리의 내용 및 성격이 달라지는 것은 각 자료의 구연 상황 및 목적이 다르기 때문이다. 성주의 본풀이를 노래하는 자료는 천상계가 본향인 가옥 최고신 성주신을 집으로 모셔오는 것이 목적이다. 그러나 그 외 자료는 성주목(城主木)을 베어 와서 집 짓는 과정을 체계적으로 노래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따라서 이 자료의 성주 본향은 천상계가 아닌, 솔씨가 처음 뿌려진 안동 제비원이 된다.
○ 연행 시기와 장소
고사(告祀)소리는 마을을 수호하는 당산에서 지내는 〈당산(堂山)고사〉, 가정에서 새 집을 짓고 가정의 수호신인 성주신을 축원하는 〈성주고사〉, 정초 가정 내 평안과 안녕을 기원하며 진행되는 〈지신밟기〉, 배를 새로 만들어 물로 나가며 지내는 〈뱃고사〉, 건물을 짓고 무사를 기원하는 〈낙성(洛成)고사〉, 문중에서 조상의 묘에 비를 세우고 지내는 〈입패(入牌)고사〉, 과거 급제한 이가 사당에서 지내는 〈홍패(紅牌)고사〉 또는 〈백패(白牌)고사〉 등에서 구연한다.
〈지신밟기〉를 예로 들면, 정초에 마을 공동체 의례가 끝난 뒤 농악대가 서낭기를 당산나무에 기대어 놓고 서낭신을 받는다. 서낭신의 은혜가 골고루 퍼지며, 한 해 동안 쌓인 액을 막거나 풀고 다가오는 한 해 동안 집안이 평안하게 지내길 기원하기 위해 각 집을 돌며 〈지신밟기〉를 한다. 이때 농악대 상쇠는 집안 각 장소에 좌정한 여러 가신(家神)을 대상으로 고사(告祀)소리를 구연한다.
농악대 고사소리 중 《성주굿》 때 불리는 고사덕담유형과 성주풀이유형은 다른 집단의 구연 고사소리와 교류관계를 가진다. 선천적 사제자집단인 화랭이패는 마을굿의 한 갈래인 《도당굿》 때 ‘〈천지조판〉+축원’으로 구성되는 고사소리 형태를 마련했고, 그 이후에 구연 상황의 변화와 함께 ‘〈산세풀이〉+〈살풀이〉+축원’의 소리 형태를 만들었다. 이들에게서 의례 주체가 농악대로 변화하면서 농악대가 부르는 《성주굿》 고사소리 중 고사덕담유형이 생겨났다. 창우집단(倡優集團)은 의례에서 벗어나 판소리 광대와 같은 전문 예술인으로 활동하기도 했다. 그들이 구연한 소리에서는 〈산세풀이〉 뒤에 집을 짓는 내용을 구체적으로 노래하고, 소리 후반부에 통속민요 〈성주풀이〉가 차용되기도 하였다. 이 소리들은 의례에서 불리는 고사소리와 유랑예인집단인 남사당패 구연 고사소리의 중간 형태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농악대 구연 성주풀이유형은 새로 건물을 짓고 하는 낙성연에서 전문적으로 경(經)을 읽는 이들이나 마을 농악대에 의해 진행되는 《성주굿》에서 발생하였다.
문화재관리국, 『농악ㆍ풍어제ㆍ민요』, 문화재관리국, 1999. 손태도, 『광대의 가창문화』, 집문당, 2004. 이보형, 「창우집단의 광대고사소리연구」, 『근대로의 전환기적 음악양상』, 민속원, 2004. 최자운, 「농악대 고사(告祀)소리의 지역별 특성과 변천 양상」, 경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7.
최자운(崔滋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