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네굿, 부군당굿, 도당굿, 별신굿, 당산굿
우리나라 굿 가운데 마을 단위의 굿으로, 경우에 따라서는 유교식 제사나 다른 농악대와 함께 무당이 집전하는 굿
마을굿은 마을을 수호하는 신을 모시는 절차로 흔히 그 흔적을 도당굿이나 골매기굿과 같은 형태에서 온전하게 확인할 수 있다. 마을 단위의 신격을 대상으로 규모를 확장하고, 동시에 무녀와 악사가 단수 편성을 넘어서서 복수 편성으로 되는 특성을 가지게 된다.
아울러서 단순하게 무악만을 위주로 구성하지 않으며, 다른 신앙적 수단과 병렬되어 연행하는 것이 특징이다. 유교식 제관만이 집전하는 마을제 유형, 유교식 제관과 무당 집단이 연대하는 마을굿 유형, 이와 달리 유교식 제관, 무당 집단, 농악 집단이 연대하는 마을굿 유형 등으로 나뉘게 된다. 그 중 마을제는 마을굿과 일정하게 구분되므로 취급 범위에서 벗어나게 된다. 마을신앙의 특성에 따라서 마을굿은 매우 다양하게 그 모습을 드러내게 되며, 여러 가지 차별성을 구현하는 것이 드러난다. 마을굿의 한복판에 무악이 독자적으로 개입하고 이에 의해서 노래, 춤, 음악, 놀이 등이 다양하게 연행된다. 또한 종교적인 특성을 떠나서 이들의 행례를 총괄적으로 보여준다.
마을굿에 관한 기록은 『삼국지(三國志)』 「위지(魏志)」 《동이전(東夷傳)》에 등장한다. 이 기록에 따르면 부여의 풍속을 해명하는 가운데 ‘은력(殷曆) 정월에 하늘에 제사를 지내며 나라에서 대회를 열어 연일 마시고 먹고 노래하고 춤추는데, 이를 영고(迎鼓)라고 한다. 이때 형벌이나 옥사(刑獄)를 중단하여 죄수를 풀어 주었다.’(以殷正月祭天 國中大會 連日飮食歌舞 名曰迎鼓 於是時斷刑獄 解囚徒)라고 되어 있다. 또한 고구려에서도 역시 같은 형태가 있었으며, ‘시월이 되면 하늘에 제사를 지내는데 나라의 큰 모임을 하며 그 이름을 동맹이라고 한다. 그 공변된 모임에서는 의복이 모두 비단으로 수를 놓은 것을 입고 금과 은으로써 저절로 장식한다’(以十月祭天 國中大會 名曰東盟 其公會 衣服皆錦繡金銀以自飾)고 되어 있다. 예의 경우에도 동일한 의례가 있었던 것으로 추정되는데, 그 기록을 보면 ‘항상 10월 절기가 되면 하늘에 제사하고 밤낮으로 술을 마시고 노래 부르고 춤추니 이를 이름하여 무천이라고 한다. 또, 범에게 제사지냄으로써 신으로 삼는다’(常用十月節祭天 晝夜飮酒歌舞 名之爲舞天 又祭虎以爲神)고 전한다.
이처럼 부여의 《영고》, 고구려의 《동맹》, 예의 《무천》 등의 내용을 통해 마을굿의 원형을 확인할 수 있다. 이 의례는 모두 국중대회라고 하는 것으로 보아 나라의 큰 모임을 말하고, 이를 집전하는 것은 나라굿의 형태로 나라 무당인 국무(國巫)가 제전을 거행하였을 가능성이 있다. 나라굿은 신성한 것을 추존하는 것이니 하늘과 같은 천제의 대상이 되며, 각기 그 구체적인 신격은 나라마다 차이가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나라굿은 날을 연이어서 하는 것으로 오늘날의 축제 기간과 같은 형태를 염두에 둘 수 있으며, 특히 음주가무의 형태를 통해서 집단적인 이합집산 과정을 통한 일정한 의례를 거행한 것으로 이해된다. 나라굿의 구성원 모두가 하나로 되면서 일정하게 혼연일체로 되는 신명을 연출한 것이다. 신사의 특성을 보이면서 나라굿의 일체감을 자아낸 것으로 추정된다. 그 특성은 최상위의 신격, 신격을 모시는 사제자, 이에 부응하는 신앙적인 구성원인 신도가 하나로 분별되지 않으면서 일체감을 조성함을 알 수 있다.
나라굿의 형태로 축소되거나 특성에 맞게 변형된 것이 바로 고을굿이며, 《강릉단오제》ㆍ《은산별신굿》에서 그 형태가 나타난다. 마을굿은 마을 단위의 굿이므로 고을굿보다 규모가 작은 것이지만 집단적인 일체감을 자아내는 굿이라고 하는 점에서 나라굿-고을굿-마을굿의 역사적 전개를 부합할 수 있는 것이라고 하는 점을 우리는 인지할 수 있을 것이다. 오늘날 개별화된 형태의 것과 다른 집단적 굿이 마을굿의 핵심이 되는 점을 이해하게 된다.
마을굿은 지역마다 고유한 특성이 있다. 강신무권인 황해도와 서울 지역의 대동굿과 도당굿, 세습무권으로 경기도 남부의 도당굿과 동해안 일대의 별신굿이 있다. 그 중 강신무권에서는 지역에 따른 절차와 구성의 변이가 많다. 서울굿을 중심으로 한다면 높은 신격을 중심으로 하는 대목에서는 장중한 의미를 드러내는 음악과 인간의 신명을 달래는 음악이 사용된다. 염불, 반염불, 굿거리, 타령, 당악 등의 음악적 구성을 보이면서도 그 세부적인 내용을 채워나가는 것은 무당이 입는 신복 및 각종 절차와 깊은 연관성을 가지게 된다. 경기도 남부 지역의 도당굿은 화랭이들이 참여하며 음악의 수준이 높다. 높은 신격일수록 음악은 느리고 장중한 장단으로 청배를 하고 본풀이로 모시는 신의 내력을 말하는 것이 기본적 모습이다. 본풀이는 이른바 섭채와 오니섭채 장단으로 신을 청배하는 내력이 있음이 확인된다. 특정한 굿거리는 신과 놀이를 벌이는 대목이 추가된다. 〈군웅노정기〉와 〈손님노정기〉는 그 예가 된다. 이와 함께 마을의 희생양으로 되는 정애비를 다스리는 대목에서는 다른 지역에서 볼 수 없는 세속적인 놀이를 확대하면서 굿판을 놀이판으로 하는 특징이 나타난다. 동해안 지역에서 연행되는 별신굿에서도 경기도 남부 도당굿과 절차 및 구성에서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 높은 신격-중간 신격-낮은 신격 등으로 전개되는 과정에서 높은 신격일수록 본풀이를 하는 특성이 있으며, 이 때에 활용되는 것은 제마수 장단으로, 이 신들의 거리는 대체로 몇 가지로 국한된다. 제마수 장단으로 하는 본풀이를 구연하는 것으로는 〈세존굿〉ㆍ〈심청굿〉ㆍ〈손님굿〉ㆍ〈계면굿〉 등이 있고, 다른 절차에서는 청보장단으로 한다. 이들 신격은 〈골매기굿〉이나 〈화후굿〉 그리고 〈천왕굿〉ㆍ〈성주굿〉ㆍ〈조상굿〉 등의 절차에서 확인되는 면면에 배당하며 현란한 무속 가락과 함께 진행하는 것이 특징이다. 마지막으로 잡귀잡신을 풀어멕이는 굿거리는 〈거리굿〉이라고 한다. 대거리에서 여러 잡신의 면모가 확대되는 지점이기도 하다. 세 가지 사례는 결과적으로 우리 민족의 역사적 전개 속에서 마련된 공통된 기반의 근간을 보여주는 점에서 마을굿의 전형이 형성된 결과임을 보여준다. 지역유형의 차별성에도 불구하고 고유한 형태의 저변에 민족적인 근간 의식이 있으며, 이 의식은 모두 사제자의 전통 속에서 마련된 것이다. 아울러서 이 마을굿이 단층이 아니라, 역사적 격변 속에서 마련된 다양한 층위의 신격 변화 과정에서 보이는 일정한 틀을 유지하고 있는 점에서 주목되는 모습이 없지 않다.
마을굿은 마을의 신을 모시는 절차를 핵심으로 한다. 마을 수호신을 모시고 마을 수호신과 인간이 하나가 되는 놀이를 한 뒤에 마을 수호신을 보내는 절차를 하는 것이 그 놀이의 핵심이다. 그러한 절차에서 가장 긴요한 것은 마을을 어지럽힌 것들을 물리치고 굿판인 제장을 세속의 장에서 신성한 장으로 전환시키는 절차이다. 이 절차가 끝나면 마을신과 함께 모셔지는 여러 신들을 초치하여 신성한 내력을 보이고 음악과 노래로 이들을 칭송하여 맞이하고 풀이하고 보낸다. 마지막으로 신들을 보내는 의례를 하게 되는데 높은 신격만이 오지 않고, 오히려 높은 신격에 따른 일정한 잡귀잡신이 함께 왔다고 평가해서 이들을 놀리고 보내는 절차를 함께 한다. 이들 신격은 대부분 불행한 사정으로 죽은 인격신이다. 이들 신의 형편을 묘사하고 더럽고 천한 존재이지만 이들의 행태를 통해서 이들의 놀이를 보이고 억울한 사정을 풀어주는 일을 하는 것이 핵심이다. 〈신맞이〉, 〈신놀림〉, 〈신보내기〉 등이 요점이다. 이 내용에 입각하여 존귀한 신격은 천신이나 지신이 되고, 중간 정도의 신격은 인격신과 같은 형태이지만 이 신들은 마을굿에서 가장 중요한 신격이다. 그렇기 때문에 신격들에 대한 내력을 풀고, 신격들과 마을사람들과의 놀이를 통해 마을 사람들의 일체감을 조성하는 절차가 마련된다. 마을 사람과 사제자인 무당이 하나로 되는 행례를 하고, 동시에 마을 사람들의 일체감을 자아내는 〈신명풀이〉를 하게 된다. 〈신명풀이〉는 너와 나를 잊고 신의 이름 아래 하나로 되는 특정한 신인합일의 분위기를 조성하는 것이 핵심이다. 인격신 가운데 저급하고 낮은 신격은 온전한 죽음을 맞이하지 못한 이들이며, 이들을 위한 굿놀이 절차가 있다. 이 절차에서는 저급하지만 버릴 수 없는 우리네 사정을 보여주어 웃음과 눈물을 공유하는 특성을 지닌다. 마을굿뿐만 아니라, 고을굿에서도 동일한 면모가 발견된다.
마을굿은 역사적 변천과 격변 속에도 불구하고 고대에 형성된 신앙의 산물이면서도 여전하게 우리의 곁에 살아 있는 무당의 권능을 구현하고 있는 점에서 과거의 산물이 현재의 지속이라고 하는 점을 여실하게 보여준다. 마을굿을 통해 중세종교와 다른 인간의 기본 심성을 만날 수가 있으며, 인간 누구나 신을 경배하고, 신과 가까이 인간이 만날 수 있는 경지를 보여주는 점을 확인하게 한다. 이와 같은 신앙적 배경은 단순하게 우리의 신앙으로 확인되지 않고 오히려 샤머니즘의 세계적 보편성을 확인할 수 있기도 하다.
김헌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