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륙무차평등재회, 수륙작법
소원성취를 위해 수륙의 일체 성현과 범부를 청해 재공을 권하는 불교의례
불교의 여러 의례 가운데 수륙재는 가장 대형의 의례로, 죽은 이의 왕생극락과 자신이나 가족의 소원을 이루고자 수륙의 일체 성현과 범부와 혼령들을 초청하여 공양을 베풀고 경전을 독송하여 깨달음을 얻게 하며, 그 공덕으로 당해 혼령이나 고혼들이 고통의 세계를 벗어나 극락으로 가서 나도록 기원하는 의례.
6세기 중국 양나라 무제의 무차회 혹은 반승이 기원으로 알려져 있다. 찾아온 이들에게 음식을 제공하거나 승려들에게 공양을 올리는 의례였으나 당송 시대를 거치며 오늘날 형태의 수륙재로 발전되었다. 10세기경부터 국내에도 무차회가 열렸고 11세기 말 수륙의문이 수입되고 14세기 중반 현재의 의문이 편집되었으며, 14세기 후반 국행수륙재가 행해지기 시작하였다.
수륙재의 대본이라고 할 수 있는 의문(儀文)은 양나라 무제가 편찬하였다고 하나 그 사상적 배경이 되는 『구발염구아귀다라니경』 등이 후대에 번역되었고, 11세기경 『천지명양수륙의문』, 13세기 말 『법계성범수륙승회수재의궤』의 편찬으로 인해 수륙재의 형식이 확립되었다고 할 수 있다. 육도(六道)의 고통 받는 네 종류의 중생들을 구제하기 위해 시작된 수륙재는 송나라 때는 점차 조상 제사의례로 설행되었고, 국가의 안녕과 무주고혼을 위해 수륙도량이 건립되었다. 국내 수륙재에도 경전염송의 영산법석이 동시에 설행되다가 17세기 이후에는 영산작법이 독립의 길을 걸었으며, 수륙재에는 그 흔적이 많지 않다. 수륙재의 진행은 범패 소리와 작법무 등으로 진행되는데, 소문, 유치 청사 착어 표백 등에 직촉(直促)을 특징으로 하는 유치성, 여거(勵擧)를 특징으로 하는 착어성, 소리가 일정한 법칙에 의해 조직적으로 운용되는 편게성, 개계성으로 거행해야 할 것을 시간을 단축할 필요가 있을 때 특별히 강조할 부분 외에는 목탁을 울리며 시간을 단축할 때 하는 소리인 개탁성 등의 범패 사성이 활용되고 있다. 육도사생의 고통 받는 중생들을 구제하기 오방의 성인과 범부를 초청하여 평등하게 음식을 베푸는 수륙재는 불교의 종합의례라고 할 수 있다.
○ 연행 시기와 장소
특정 망자의 칠칠재나 기신재를 위해 행해지는 수륙재는 특정 일자에 열리지만 불특정 다수의 고혼이나 망령들을 위해 개설할 때는 상원이나 2월에 혹은 중동 등 주로 사시(四時, 네 계절의 가운데 달 보름)에 행해졌다고 알려져 있다. 현재 국가무형문화재 수륙재는 양력 10월 둘, 셋째주의 토요일 일요일에 주로 열리며, 대웅전 앞에 특설도량을 건립하여 개최하고 있다. 수륙의 의미로 물가 등 산자수명(山紫水明)한 곳에 도량을 건립하여 수륙재를 열기도 한다.
한국불교의 수륙재는 일체 성현과 범부를 초청하여 공양을 베푸는 의례임과 동시에 특정 혼령의 제사를 겸한 의례로 발전하여 그 절차와 구성이 이원적이라고 할 수 있다. 첫째는 영산작법을 먼저 진행하고 다음에 수륙작법을 진행하는 절차로 구성된다. 첫째 영산작법은 영산재의 그것과 같다고 할 수 있다. 먼저 혼령을 모셔오기 위해 연과 위의들은 일주문 밖 시련터로 나아간다. 이때 인성이 소리를 짓기도 한다. 시련 터에서 시련절차를 하고, 혼령을 맞이하고 혼령에게 절을 하지만 실제 혼령을 맞이하는 대령과 혼령의 목욕을 제공하는 관욕의식은 사찰 정문 앞이나 법당 앞에서 행해진다. 그리고 경전 염송이나 법문을 위한 법석을 위해 신중을 청하여 도량 옹호를 부탁하고 괘불을 모셔놓고 영산작법을 하고 법문을 한다. 국가무형문화재 제126호 진관사수륙재의 절차의 구성이 대표적이다. 1박2일에 걸쳐 진행하는 첫째 날의 영산법석 의례를 낮에 행한다고 하여 ‘낮재’라고 칭하고 있는데 사실상 영산재의 형식과 같다. 둘째는 ‘밤재’라고 칭하고 있으나 실제로는 밤에 하지 않고, 다음날에 행하는데 사실상의 수륙재라고 할 수 있다. 수륙재의 절차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었다. 첫째 수륙연기라고 하여 수륙재가 일어나게 된 연유를 대중들에게 널리 알린다. 이때 행해지는 대본은 전통수륙재 의문인 결수문에 의거 세상에 두루 계시는 삼보께 아뢰는 절차가 향과 등과 꽃을 피우고 밝히고 올리면서 삼보에 경례하는 의식을 행하면 수륙재 본문의 의식을 시작한다. 다음날 오전 9시 전에 시작한다. 수륙재의 절차와 구성은 다음과 같다. 제일 먼저 수륙도량이 건립되면 수륙재가 열리게 되었음을 널리 알리는 서첩(초청장)을 의식이 진행된다. 이때 네 분의 사직사자(四直使者)를 위해 공양이 권해지고 아울러 마구(馬廏)에 화상으로 모셔놓은 10필의 전마에게도 공양을 권하는 의식을 간단하게 진행한다. 이 전마(錢馬)는 명계의 명부전을 옮겨가는 마구라고 할 수 있고, 사자의 말은 사자가 타고 있거나 옆에 그려 모셔놓고 있음을 볼 수 있다. 다음은 초청을 받은 이들을 위해 길을 열어달라고 부탁하는 오방의 오제를 청해 공양을 올리는 의식이 진행된다. 사실상 의례의 준비가 끝나면 상위 중위 하위의 존재들을 초청하는 의식이 진행된다. 상위의 존재들을 청하는데 이때 상위의 존재들은 불부 연화부의 존재를 상단으로 청해서 자리에 모시고 차를 올리고 대중이 함께 인사를 드리고, 다음은 중위의 존재를 청한다. 중위의 존재들을 청해서 존재들이 도착하면 상위의 삼보에 인사를 드리고, 위패를 중단에 앉힌다. 마지막으로 하위의 존재들을 청하게 되는데, 하위의 존재를 청할 때는 대문 밖에 나가서 청하는 것이라고 옛날 대본에는 주석하고 있으나 그렇게 하는 재장은 현재 거의 없다. 하위의 존재들은 재장에 도착하면 본격적으로 상위의 존재들에게 인사를 드리기 전에 재장에 도착하면 관욕소로 안내하여 목욕의식을 진행한다. 하위의 일체 존재들은 업장이 두텁기도 하고 몸과 마음을 깨끗이 해야 재장에서 제공하는 진리의 음식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위의 삼보에 인사드리고 정해진 자리에 위패를 안치함으로써 청함의 절차가 모두 끝나게 된다. 상ㆍ중ㆍ하위의 존재를 청했으므로 상위부터 공양을 권하는 절차가 진행된다. 이때 상위와 중위의 경우는 진언으로 공양에 힘을 넣어주는 가지 절차가 정법계진언, 변식진언, 출생공양이며, 공양을 권하는 방식은 헌향을 필두로 헌등 헌화 헌과 헌수 헌병 헌식 등의 일곱 진언으로 행하고 마지막으로 마음으로 공양을 권하는 운심권공진언이 행해진다. 하위의 존재들은 한국불교 일반의 공양의식인 사다라니로 공양물이 변하게 하는 변공과 공양물을 권하는 권공이 이어진다. 변공과 권공 이전에 붓다의 명호를 칭명하여 들려줌으로써 하위 존재들이 가지고 있는 고통 받는 상황을 개선해 주고, 일체 존재의 인연 도리를 들려주어 깨닫게 하며, 업장을 참회하여 없애주고 난 다음에 진언으로 변공하고 권공하여 공양을 들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은 공양 절차가 끝나면 도량의 장엄물을 걷고 청해 모신 일체 성인과 범부를 본래 자리로 돌아가게 하는 봉송 회향의식을 한다. 재장의 번과 위패 및 금ㆍ은전산 등 장엄물을 수거해 머리에 이거나 들고 대문 밖 봉송터로 향한다. 봉송터에서 번과 위패 등을 불사른다. 이때 도량 좌우에 걸어놓았던 금은 전산이 저승의 돈으로 변하게 하며, 극락세계에 왕생하기를 발원하게 된다. 금ㆍ은전산 등 도량이 파해 흩음으로써 일체는 본래 있던 곳으로 돌아가게 하고 수륙재의 공덕을 일체에 회향함으로써 수륙재가 끝나게 된다.
수륙재는 산자와 망자 등 일체 성현과 범부를 초청하여 진리의 공양을 나누고 깨달음을 얻는 불교의 종합의례로서 상하의 귀천을 가리지 않고 평등하게 음식을 나누는 나눔의 문화가 그 기저를 이루고 있다. 수륙병, 수륙곡 등을 나눠 먹으며 진리를 깨치고 전통의 범패와 작법무를 통해 성인과 범부가 하나 되는 대동제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는 한국불교의 역사문화가 녹아 있는 전통문화라고 할 수 있다.
삼화사수륙재: 국가무형문화재(2013) 진관사수륙재: 국가무형문화재(2013) 아랫녘수륙재: 국가무형문화재(2014)
『수륙무차평재의촬요』(『한국불교의례자료총서』 제1집) 『법계성범수륙승회수재의궤』(『한국불교의례자료총서』 제1집) 『천지명양수륙재의찬요』(『한국불교의례자료총서』 제2집) 지선 찬, 『오종범음집』(『한국불교전서』 제12집), 1661. 지환 집, 『천지명양수륙재의범음산보집』(『한국불교의례자료총서』 제3집), 1723. 中國佛敎協會 編, 「中國佛敎儀軌制度硏究」, 『中國佛敎』第二輯, 知識出版社, 1989. 이성운, 「영산재와 수륙재의 성격과 관계 탐색」, 『한국불교학』 73, 한국불교학회, 2015.
이성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