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쇠춤, 쇠발림, 발림춤
농악춤의 한 갈래로 풍물 악기인 꽹과리를 들고 연주하면서 추는 춤
쇠춤은 주로 농악에서 꽹과리를 들고 추는 춤을 말한다. 특히 〈상쇠춤〉은 머리에 새털이나 종이로 만든 부포상모를 쓰고 추는 쇠춤의 한 종류로 상쇠만이 출 수 있는 춤이다. 농악뿐만 아니라 전문 광대들의 공연이나 굿판에서도 연행되었는데, 광대가 추는 쇠춤에는 〈진쇠춤〉이 대표적이고, 굿판의 쇠춤으로는 악사에 의해 연행되었던 〈터벌림춤〉이 있다.
농악은 마을신과 농사신을 위한 제사, 액을 쫓고 복을 부르는 축원, 풍농과 벽사진경을 기원하는 의미를 담고 있는 전통 민속연희이다. 농악에서 꽹과리는 음악을 이끌어가는 악기로서, 악대(樂隊)의 박절(拍節)을 조절하고 신명을 일으키는 역할을 한다. 쇠춤은 농악대에서 꽹과리 연주자인 ‘쇠꾼’이 추는 춤이다. 뛰어난 쇠꾼의 소리를 ‘귀신같이 잘 친다’, ‘신을 몰고 다닌다’라고 하였다. 그래서 쇠를 치면서 춤을 추는 행위를 신악(神樂), 신무(神舞)라 부르기도 한다. 특히 상쇠는 농악대의 대표로 모든 놀이를 지휘하며, 개인놀이로 부포놀음과 쇠춤을 연행한다.
쇠춤의 대표적인 예는 농악대의 상쇠가 부포놀이로 꽹과리와 채를 들고 춤을 추는 것이다. 상쇠가 쓰는 부포상모에는 부들상모와 뺏상모가 있다. 부들상모는 기교가 비교적 단조로운 곡선을 형성하고, 뺏상모는 꽃봉오리 형상을 만드는 등 다양한 기교를 사용한다. 부포놀이 동작으로는 목을 좌우로 돌리는 것, 8자형, 앞뒤로 젖히는 동작, 목놀이 등이 있다. 부포의 움직임은 전령(傳令)의 신호를 나타내거나 꽃과 성행위 등을 묘사하기도 한다. 전령인 경우 부포를 왼쪽으로 돌리면 ‘오늘’을 뜻하고, 부포를 오른쪽으로 돌리면 ‘내일’을 뜻한다. 부포를 세우는 움직임은 꽃을 상징하거나, 새가 움직이는 것, 남성의 성기를 상징한다고 한다. 꽃 상모가 펴졌다 오므라졌다 하는 것은 풍요와 번영을 위한 주술적 행위를 위미하기도 하고, 황새가 걷는 걸음을 표현한 것으로도 해석된다.
안성을 중심으로 전승되는 〈진쇠춤〉은 과거 팔도의 진사들이 꽹과리를 들고 춤을 추었다는 데서 유래한 춤이다. 《경기도당굿》에서는 무녀 네 명이 사방에 서서 꽹과리를 치면서 굿당을 정화시키는 의미로 추기도 한다. ○ 주요 춤사위 쇠꾼의 춤사위인 발림춤은 다음과 같다.
명 칭 | 설 명 |
좌우치기 | 오른손을 오른쪽 옆으로 벌렸다가 다시 왼쪽 옆으로 가져가기를 반복하는 동작 |
휘돌리기 | 오른손을 얼굴 위로 올리고 원을 그리는 가운데 말았다 풀었다 하는 동작 |
상하치기 | 오른손을 아래위로 흔드는 동작 |
앉은 걸음 | 앉은걸음으로 걸어가면서 오른손을 좌우로 흔드는 동작 |
발 사이로 손 모으기 | 한 발을 교대로 올리는 동작을 하면서 앉았다 일어서는 동작을 하며 양손을 발 사이로 모았다가 벌리는 동작 |
앉은 사위 | 부포를 하면서 앉은 자세로 왼발 오른발을 옆으로 번갈아 벌리기를 반복하는 동작 |
한 발 들고 앞걸음 | 부포를 위로 세우고 한 발을 앞으로 들어 가볍게 펴면서 한발뛰기로 앞으로 나가는 동작 |
앉은 좌우치기 | 앉아서 가볍게 뛰면서 꽹과리채를 좌우로 흔들면서 앞으로 걸어가는 동작 |
연풍대 | 꽹과리를 치면서 한쪽 무릎을 약간 굽혀 반대 발에 붙이고 회전하는 동작으로 반복적으로 한다. |
좌우치기로 앞걸음 치기 | 꽹과리를 어깨위로 올린다음 꽹과리를 틀어 안쪽 앞으로 내밀고 꽹과리채를 좌우로 휘저으면서 앞으로 나가는 동작 |
꽹과리 채 던지기 | 상쇠는 춤을 추거나 공중으로 꽹과리를 위로 던져 받는 동작으로 이러한 동작은 가락을 끝을 알리거나 걸립패들이 마을을 빠져나갈 때 이별을 표현하는 동작 |
외사 | 오늘 한쪽으로 부포를 돌리는 사위 |
양사 | 부포를 좌우로 번갈아 가면서 돌리는 사위 |
사사 | 부포를 왼쪽으로 두 번, 오른쪽으로 두 번 돌리는 사위 |
퍼넘기기 | 부포를 앞에서 뒤로 퍼 넘기는 동작 |
꾀꼬리 상모 | 부포를 좌우로 휘돌려 8자형으로 돌리는 동작 |
공중매기 | 부포를 앞에서 위로 세우고 제자리에서 발리 돌리는 사위 |
해바라기 | 적자를 위로 세우고 부포를 해바라기 모양으로 앞으로 숙이는 동작 |
이슬털이 | 부포를 세우고 좌우로 흔들어 마치 이슬을 터는 것처럼 표현되는 동작 |
전조시 | 새가 모이를 쪼듯이 부포로 전을 쪼는 동작 |
면돌이 | 부포를 앞전에다 놓고 몸을 좌우로 흔들면서 고갯짓을 하는 동작 |
엇붙임 | 장단을 먹으면서 좌우로 부포를 흔드는 사위 |
마상개 | 부포를 앞에 놓고 어르면서 노는 춤사위 |
반드름 | 부포를 조금만 들어 올리는 것으로 부포를 올릴 듯, 말 듯 하는 동작 |
연꽃놀이 | 부포를 세워 고갯짓으로 끄덕끄덕하면서 연꽃 봉우리처럼 보이게 하는 동작 |
산치기 | 부포를 위로 세우는 동작 |
배미르기 | 부포를 세우고 앞뒤로 걸어가는 동작 |
돗대치기 | 부포 전체를 수직선으로 세우고 그대로 있거나 제자리에서 회전하는 사위 |
용개상모 | 부포를 세우고 빠르게 떠는 동작 |
빠른 상모 | 부들 상모를 좌우로 빨리 돌리는 동작 |
쇠가락에는 외마치질굿, 세마치, 길군악칠채, 오채질굿, 삼채다드라기, 무정작궁, 쩍쩍이 등이 있다. 쇠가락의 형식은 물고(열고), 맺고(닫고) 어르는 것이다. 가락은 기본적으로 일채, 이채, 삼채로 구분되고, 외마치, 두마치, 세마치, 일곱마치, 여덟마치, 아홉마치, 열두마치 등도 쓰인다. 각 농악에서 부포춤에 사용되는 쇠가락은 다음과 같다.
명 칭 | 쇠가락 | 부포춤 | |
1 | 평택농악 | 길군악 칠채, 마당 칠채, 자진가락, 삼채, 쩍쩍이, 영산다드라기, 굿거리등 | 외사, 양사, 사사, 퍼넘기기 |
2 | 이천농악 | 쩍쩍이, 길군악, 업쑤시기, 다드라기 | 외사, 양사, 사사, 퍼넘기기 |
3 | 대전농악 | 나드래기, 일채, 이채, 삼채, 오채, 육채, 늦은칠채, 자진팔채 | 외사, 양사, 사사, 퍼넘기기 |
4 | 부여 추앙농악 | 세마치, 도둑굿가락, 쩍쩍이, 칠채, 작은마치, 느린마치, 두마치 | 외사, 양사, 사사, 퍼넘기기 |
5 | 강릉 홍제농악 | 일채, 삼채, 길놀이가락, 굿거리, 이채 | 외사, 양사, 사사, 퍼넘기기 |
6 | 청도 차산농악 | 질굿, 자진모리, 부정굿가락, 굿거리 | 외사, 양사, 사사, 퍼넘기기 |
7 | 금릉 빚내농악 | 질굿, 마당굿, 반죽굿, 다드라기, 영풍굿, 허허굿, 판굿, 채굿(1,2,3,4번), 영산다드라기, 진굿, 지신굿, | 외사, 양사, 사사, 앞뒤로 젖히는 사위, 퍼넘기기 |
8 | 부산농악 | 길굿, 다르라기, 사방굿, 덧배기, 빠른덧배기, 마침굿, 마당굿 | 외사, 양사, 사사, 퍼넘기기 |
9 | 진주삼천포농악 | 덧배기, 길군악, 반삼채, 호호굿, 반딧배기, 영산다드라기 | 외사, 양사, 사사, 퍼넘기기, 꾀꼬리상포, 해바라기, 공중매기 |
10 | 김제농악 | 내림굿, 인사굿, 잦은 오채, 풍년굿, 양산도, 늦은삼채, 된삼채, 자진삼채, 자진모리, 굿거리 | 외사, 양사, 사사, 퍼넘기기, 꾀꼬리상포, 해바라기, 공중매기, 이슬털이, 전조시, 면돌이, 마상개, 연꽃놀이, 산치기 등 뺏상모의 춤사위 |
11 | 영광농악 | 일채, 일채덩덩궁이, 이채, 음매갱갱, 된삼채, 오채질굿, 벙어리오채굿, 오채진가락, 콩꺾기가락, 호호굿가락, 구정놀이, 덩덕궁이 | 외사, 양사, 사사, 꾀꼬리상모, 퍼넘기기, 공중매기, 해바라기, 이슬털이, 전조시, 면돌이, 마상개, 연꽃놀이, 산치기, 엇붙임, 반드름, 산치기, 배미르기, 돗대치기, 용개상모 등 뺏상모의 춤사위 |
12 | 진도 소포농악 | 길굿가락, 가락, 샘굿가락, 일채, 이채, 삼채, 사채, 오채, 육채, 꾸리감기가락, 진도다드라기, 진도살풀이, 조왕굿가락, 쟁쌍기가락(진풀이가락) | 외사, 사사, 퍼넘기기, 부들상모의 춤사위 |
13 | 임실 필봉농악 | 굿거리, 삼채굿, 휘몰이, 채굿, 질굿, 짝드름, 호호굿 | 외사, 양사, 사사, 퍼넘기기, 꾀꼬리상모, 해바라기, 이슬터리, 전조시, 면돌이, 마상재, 연꽃놀이 등 뺏상모의 춤사위 |
14 | 여천 백초농악 | 느린 삼채, 중삼채, 자진삼채, 굿거리 | 외사, 사사, 퍼넘기기 등 부들상모 춤사위 |
농악에서 쇠춤의 복식은 농악대의 복식으로 민복에 삼색 띠를 맨다. 머리 장식은 지역에 따라 고깔, 흰색 천, 상모, 부들상모를 착용한다. 삼색 띠는 양어깨에 교차하여 허리 뒤로 묶거나, 허리에만 묶어서 사용하며 지역에 따라서 삼색띠를 묶지 않는 지역도 있다. 부포놀이에 쓰는 상모는 부들상모, 뻣상모, 종이상모 등이 있다.
부들상모는 깃털을 연결한 것으로, 〈남원농악〉 등 호남 좌도농악에서 주로 쓴다. 뺏상모는 철사에 구슬을 꿰어 조록 목을 뻣뻣하게 감아 사용하며, 〈이리농악〉 등 호남 우도농악에서 주로 쓴다. 털은 주로 칠면조나 두루미 털을 이용한다. 종이상모는 〈평택농악〉 등 주로 경기 충청지역과 경상도 지역에서 사용한다.
〈진쇠춤〉을 출 때는 구군복에 전립을 쓴다. 허리에 전대를 두르고, 신발은 목화를 신는다. 채 꼬리에는 원색의 천이 달려있다.
풍물 춤에는 〈북춤〉, 〈장구춤〉, 〈소고춤〉, 쇠춤이 있다. 이 중 쇠춤은 농악 외에도 굿판의 무녀나 악사가 추기도 하고, 예인들의 공연으로 연행되기도 하여, 벽사진경과 오락적인 기능을 동시에 지닌 춤이다.
진주삼천포농악: 국가무형문화재(1966) 이리농악: 국가무형문화재(1985) 평택농악: 국가무형문화재(1985) 임실필봉농악: 국가무형문화재(1988) 김천금릉빗내농악: 국가무형문화재(2019) 남원농악: 국가무형문화재(2019) 부산농악: 부산광역시 무형문화재(1980) 청도 차산농악: 경상북도 무형문화재(1980) 김제농악: 전북특별자치도 무형문화재(1996) 농악: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2014)
권은영, 「여성농악의 발생과 남원의 권번문화」, 『국어문학회』 60, 2015 김정헌, 『한국농악의 역사와 이론』, 한국학술정보, 2009. 손진태, 『전통오락진흥문제』, 「삼천리」 13/4,1941. 신명숙, 「한국의 꽹과리와 춤 연구」, 『비교민속학』 38, 2009 이능화, 『조선 향토예술론』, 「삼천리」 13/4, 1941. 이해구 역주,『신역악학궤범』, 국립국악원, 2000, 정병호, 『한국의 전통춤』,집문당, 2002 정병호, 『농악의 음악성』, 『음악교육』, 세광음악출판사, 1985. 최흥기, 「울산 달리마을 풍속에 따른 농악의 갈래와 구성에 관한 제시」, 『한국학』 40, 2017.
배병호(裵秉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