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장구, 장고(杖鼓)춤, 杖鼓舞, 장구춤, 설장구놀이
설장구춤은 타악기의 하나인 장구를 비스듬히 어깨에 둘러메고 왼쪽 허리에 띠로 동여매어 흔들리지 않도록 고정하고 다양한 장단(리듬)으로 장구를 연주하는 동시에 무용적 동작을 표현하는 춤이다. 장구는 왼쪽을 궁편이라 하고 오른쪽을 채편이라 하여 궁채, 열채를 쓰기도 하고 맨손으로 치기도 한다. 설장구춤은 크게 농악의 민속놀이적 유형, 교방무적 유형, 무대화된 신무용적 유형으로 나뉜다.
조선시대에 장구를 무구로 하는 장구춤이 존재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 건립된 백련암 벽화에는 장구춤의 그림이 새겨져 있다. ‘설장구’란 농악의 판굿에서 장구잽이가 혼자 나와 장구가락으로 솜씨를 보이는 일종의 놀이 형식을 의미한다. 설장구의 ‘설’의 뜻은 정월 초하루를 ‘설’이라고 하듯이 새롭게 시작한다는 의미이며 설장구는 농악에서 장구잽이의 우두머리를 뜻한다. 농악의 판굿에서 우두머리인 설장구가 나와 재주를 부린다 하여 설장구 놀이라 하던 것을 줄여 ‘설장구’라 부른다.
역대 농악 설장고 명인으로 불렸던 1910년대 김홍집, 김만식과 1950~60년대 전사섭, 김병섭, 김오채 등은 연주 재능뿐만 아니라 가락에 맞는 유연한 춤사위, 특히 다양한 발놀음과 빠른 회전동작 등으로 주목받은 인물들이다. 이들을 비롯해 현재 농악판에서 개인놀이로 연행되는 설장구는 ‘뛰어난 기악 연주’로서의 설장고를 넘어 ‘악기연주를 바탕으로 한 설장고춤’이라는 춤으로의 장르 변화가 이뤄진다.
장구춤이 농악 설장구에서 분화되어 나왔는지는 아직 확정할 수 없다. 교방 장구춤으로 김취홍류 십이체장고춤을 통해 볼 때 장구춤의 전통이 따로 있었을 가능성이 깊어진다. 현재의 장구인 요고를 삼국시대 고분벽화와 유물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고려시대 주악상에 장고와 장고춤이 보이며, 조선시대 여러 점의 감로탱화 속에서 장고춤을 볼 수 있다.
최승희가 1942년 일본 동경제국 극장에서 신작 작품으로 장고무를 선보인 것이 신무용적 장구춤의 효시로 보인다. 후에 김백봉, 조흥동, 배정혜, 정민 등에 의해 꾸준히 장구춤이 전승, 계발되고 있다.
○ 농악
설장구- 김병섭 설장구의 장잔 얼개
다스름 마당- 삼채(자진모리)/빠른 삼채 미지기/매도지
휘모리 마당- 휘모리/숙바더듬/휘모리/오방진/미지기/매도지
굿거리 마당- 굿거리/양산도/굿거리 멍석말이/자진굿거리/동살풀이/엇모리/매도지
자진모리마당- 자진모리/후후둑/학춤/좌우치기/매도지
연풍대 마당- 자진모리/매도지
○ 무대용 설장구춤 한혜경류 (성악 반주)
긴 난봉가, 한강수 타령, 자진한강수타령, 자진난봉가 반주에 맞춰 춤을 춘다.
신무용류 장구춤은 민요에 의한 춤의 형태 또는 설장구의 가락과 리듬을 그대로 수용하되, 무대라는 공간적 특성과 전통춤과의 접목을 통해 한층 여성적인 표현미를 안무자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 발전시켜 온 양상을 보인다.
○ 호남농악 설장구의 주요 춤사위
숙바더듬, 고깔더듬, 통돌림, 채바꿈치기, 사채, 궁글채 던지기, 접시돌리기, 테돌림, 발림, 까치걸음, 엇붙임걸음, 멍석말이, 학걸음, 삼진삼퇴, 좌우치기, 미지기, 바꿈질굿, 연풍대
○ 한혜경류 십이체장고춤
풍엽체(風葉体,) 새싹체, 끌체, 뿌림체, 절체(折体), 하늘받침체, 돋음체, 찍음체, 비연체(飛燕体), 어미동체(魚尾動体), 새부리체, 휘감는체
농악 설장구춤은 반주없이 장구잽이 혼자서 연행한다. 무용 설장고춤의 반주는 기악 및 성악 반주가 있다.
○ 농악 설장구춤 고깔, 흰색 중의 적삼과 바지, 청색 혹은 분홍색 조끼, 삼색띠(빨강, 파랑, 노랑), 장구와 끈, 궁채와 열채 ○ 무용 장고춤 미색 저고리, 속치마, 붉은색 겉치마, 장구와 끈, 열채
설장고 놀이는 설장고춤이라는 독특한 춤사위를 통해 민속놀이적 성향과 풍류적 성향의 예술적 형태로 발전하면서 한국 전통무용의 가치와 인식에 변화를 주고 있다. 설장고춤의 변용된 형태는 보다 예술적인 세련미를 형성하게 된 것이다. 후에는 서구적 기법과 한국 전통춤의 조화로운 예술미에 대한 추구로 장구춤의 창조적 변형과 다양 장구춤이 등장한다. 농악의 설장구놀이에서 설장구춤으로의 예술적 변용은 현재 한국을 대표할 만한 독자적인 예술로서 우리민족의 흥과 신명이 여실이 드러난다. 설장구춤은 놀이가 춤이 되는 변용된 형태에서 어떤 예술보다도 여성적이고 섬세하면서도 아랫놀음이 발달되어 있다. 또한 춤사위에 있어서 치는 방법과 춤추는 기법, 공간을 쓰는 동선이 입체적이고 다양하다.
고경희·백현순, 「한국 장고춤의 무용사적 변모 양상」, 『한국무용연구』 32권 3호, 2014. 박철, 조미연, 『우도농악설장구 김병섭의 생애와 예술세계』, 도서출판 한글미디어, 2019. 양옥경, 「풍물굿에서 춤의 기능과 미학적 작용」, 『한국무용사학』 12, 2011. 전은자, 「장고무의 구조적 분석을 통한 미적 가치 연구」, 경희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2. 정병호, 『한국의 전통춤』, 집문당, 2002. 정효민, 「장구춤에 내재된 양식성과 예술적 가치 연구」, 세종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한혜경, 「장고춤의 특성과 효용가치에 과난 연구」, 세종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조춘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