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반춤, 원양반춤, 수양반춤, 샌님춤, 맏양반춤
양반을 비판하고 풍자하는 내용을 재담과 함께 해학적인 움직임으로 표현한 춤
양반을 비판하고 풍자하는 내용을 담은 춤이다. 주로 말뚝이에 의해 탈판 위로 인도되어 등장하며, 말뚝이에게 온갖 희롱을 당해도 결국 속아 넘어가며 좋아하는 양반의 움직임을 해학적으로 표현한다. 대부분의 장면이 군무로 연행되며 일부지역에서는 독무로 연행되기도 한다.
18세기 중엽 강이천(姜彝天, 1769-1801)의 남성관희자(南城觀戲子)에서 현재 《양주별산대놀이》와 《송파산대놀이》에서 전승되고 있는 〈샌님과장〉의 연행이 기록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현재 양반춤은 대부분의 탈춤에서 빠짐없이 등장하는 춤이다. 서울ㆍ경기에서는 《송파산대놀이》 제10과장 〈샌님ㆍ말뚝이놀이〉, 제11과장 〈샌님ㆍ미얄ㆍ포도부장놀이〉, 《양주별산대놀이》 제7과장 1경 〈의막사령놀이〉, 제7과장 2경 〈포도부장놀이〉, 황해도에서는 《봉산탈춤》 제6과장 양반춤, 《은율탈춤》 제4과장 양반춤, 《강령탈춤》 제5과장 〈양반ㆍ말뚝이춤〉, 경상북도에서는 《하회별신굿탈놀이》 〈양반ㆍ선비마당〉, 경상남도에서는 《고성오광대》 제2과장 〈오광대놀이》, 《통영오광대》 제2과장 〈풍자탈과장〉, 《가산오광대》 제1과장 〈오방신장무과장〉, 《동래야류》 제2과장 〈양반과장〉, 《수영야류》 제1과장 양반춤에서 전해지고 있다. 현재 전승되고 있는 양반의 춤은 주로 스스로를 비정상적인 양반임을 드러내는 몸짓으로 표현된다.
○ 내용 탈춤에 등장하는 양반은 몰락한 양반으로 권위와 체통을 내세우는 인물이지만 말뚝이에 의해 희롱 당하는 무기력한 인물로 묘사된다. 말뚝이의 야유와 비판을 간파하지 못함으로서 양반의 무지함이 드러나며 양반의 춤과 탈을 통해 그들이 비정상적인 양반임이 노골적으로 드러난다. 몰락한 양반들의 온갖 비리를 탈판 위에서 해학과 풍자로 신랄하게 비판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 구조 양반은 각 지역별로 1~7명까지 등장할 정도로 등장인물에 차이가 많으며, 그 만큼 구조에도 차이가 있다. 해서지역에서는 샌님, 서방님, 도령님 세 명의 양반이 등장하며, 《강령탈춤》의 경우만 재물대감이 포함된 네 명의 양반이 등장한다. 주로 말뚝이의 인도에 의해 등장하는 장면과 말뚝이가 양반을 조롱하는 대목에서 이를 알아차리지 못하고 기뻐하는 장면에서 춤이 연행된다. 서울ㆍ경기지역에서는 양반을 풍자하는 과장이 두 과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첫 번째 내용은 해서지역과 마찬가지로 세 명의 양반이 말뚝이에게 인도되어 등장하는 과장으로 춤이 연행되는 구조 및 춤의 기능은 해서탈춤과 유사하다. 두 번째 내용은 젊은 소무를 데리고 사는 늙은 샌님을 비판하는 과장으로 소무와의 대무와 포도부장과 대립하는 춤이 구성되어 있다. 경상북도 《하회별신굿탈놀이》에서는 선비와 양반 두 명이 등장한다. 주로 재담을 중심으로 연행되며 재담을 하는 장면이 마무리되면 춤으로 이어지고, 춤이 마무리되면 다음 장면으로 넘어간다. 경상남도 지역의 양반춤은 두 개의 과장에서 연행된다. 첫 번째는 〈양반과장〉에서 군무를 연행하는 내용이다. 주로 다섯 명의 양반으로 구성되고, 《고성오광대》의 경우만 종가집 도령과 홍백가를 포함하여 일곱 명의 양반이 등장하며 원양반의 개인춤이 포함되어있다. 《가산오광대》의 경우 양반의 조롱과 비판보다는 오방신장무로 벽사의식무의 기능이 강하다. 두 번째는 〈영노과장〉에서 영노인 비비가 양반을 위협하며 조롱하는 내용이다.
○ 주요춤사위 양반은 주로 말뚝이에 의해 인도되어 등장하며 말뚝이의 재담에 의해 조롱당하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양반이 등장하는 과장의 연행은 대부분 재담위주로 구성되어 있어 춤사위가 많지는 않다. 하지만 각 장면별로 양반들의 비정상적인 몸짓을 적절히 활용하여 양반의 무지함을 스스로 부각시키는 기능을 한다. 양반춤은 대부분 군무로 연행되며 양반배역의 성격에 맞는 몸짓을 중심으로 하여 춤을 자유롭게 표현한다. 해서지역과 서울 경기지역의 경우 말뚝이의 인도에 의해 ‘등장하는 장면’과 ‘말뚝이의 변명에 속아 넘어가며 기뻐하는 장면’에서 양반의 춤이 연행된다. ‘등장하는 장면’의 경우 《봉산탈춤》은 굿거리장단에 맞추어 말뚝이의 두어춤(돼지몰이 채찍춤)에 인도되어 등장한다. 두어춤은 “두우! 두우!” 또는 “두어! 두어!(두엄!)” 소리치며 몰아넣는 풍자마당으로, 큰 돼지 의성어 “두어”를 따서 붙인 이름이다. 《강령탈춤》은 자진굿거리장단에 맞춰 겹사위, 외사위, 고개잡이 등의 사위를 한다. 《은율탈춤》은 삿부채를 위, 아래로 움직이면서 굿거리장단에 맞춰 춤을 추며 등장한다. 《양주별산대놀이》에서도 말뚝이와 쇠뚝이의 두어춤에 인도되어 샌님, 서방님, 도련님이 순서대로 타령장단에 맞춰 앞 까치걸음으로 등장하며, 《송파산대놀이》도 양반부채춤을 굿거리장단에 맞춰 춤추며 등장한다.
‘말뚝이의 변명에 속아 넘어가며 기뻐하는 장면’은 대부분 군무로 연행되고, 주로 비정상적인 몸짓으로 양반의 어리석음을 표현한다. 그 중 《강령탈춤》의 경우 비교적 명확한 사위가 정해져있으며, 겹사위, 돌며 양사위, 앉아뛰기, 엇사위, 업메기, 고개잡이, 인사사위, 돌며 외사위 등 기본무를 기반으로 장삼과 지팡이를 활용한 춤사위가 연행된다.
산대놀이의 경우 〈샌님과장〉에 등장하는 샌님은 젊은 첩인 소무를 포도부장에게 빼앗기는 무능한 인물로 표현되며 앞 까치걸음 등의 춤사위 고개잡이, 깨끼춤, 병신사위를 중심으로 춤을 춘다. 경상북도 안동 《하회별신굿탈놀이》의 경우 굿거리장단에 맞춰 덧배기춤으로 여덟팔자 양반 걸음, 황새걸음 선비 걸음이 연행된다. 경상남도 지역에서는 주로 다섯 명의 양반이 등장하여 대형을 만들어 덧배기춤을 군무로 추며, 대부분 춤사위를 맺는 ‘배김새’ 장면이 포함되어 있다. 《수영야류》에서 양반들의 춤사위는 활갯짓 뜀사위, 일자사위, 돌림사위, 소쿠리춤사위, 소매걷움사위, 좌우활개사위, 배김사위(앞배김새, 뒷배김새, 겹배김새) 풀이사위 등이다. 수양반의 배김사위는 예비동작 없이 양팔배김사위, 외팔배김사위로 구분되며 춤을 맺어주는 기능을 갖고 있다. 《동래야류》의 경우 원을 이루어 덧배기춤을 추다가 원양반이 “좋다”라고 외치면 양반 전체가 예령[어떤 동작을 하기 전 미리 준비하는 부분]인 좌우활개사위를 한 장단 행한 후 힘차게 배김사위를 한다. 《통영오광대》의 경우 양반이 차례대로 한 명씩 등장하며 원을 만들면 제자리에서 기본사위를 바탕으로 춤추며, 신호에 맞춰 다 같이 배김새 사위를 한다. 《고성오광대》의 경우 자진모리장단에 맞춰 춤을 추다가 대형이 갖춰지면 굿거리장단으로 변화하며 춤을 춘다. 양반들이 군무로 자유롭게 허튼춤을 추다가 큰 배김새, 서서 배김, 앉아 배김새를 각각 연행한다. 마지막 배김새가 마무리되면 원양반이 독무를 춘다. 《가산오광대》의 경우 타령장단에 맞춰 춤을 추며 오방신장들이 등장하여 춤을 춘다. 황제장군이 사방신장들의 자리를 지정해주고, 황제장군이 중앙에 서면 사방신장들이 각 방위에서 허튼춤을 춘다.
서울ㆍ경기지역에서는 주로 피리 두 대, 대금, 해금, 장구, 북 각 한 대로 구성되는 삼현육각에 맞추어 굿거리장단과 타령장단이 연주된다. 황해도 지역에서도 삼현육각을 기본으로 하여 굿거리장단과 자진굿거리장단이 연주된다. 경상도 지역은 주로 꽹과리, 징, 장구, 북 각 한 대로 구성되는 사물악기와 태평소에 맞춰 굿거리장단, 자진모리장단, 타령장단에 춤이 연행된다.
양반들의 탈은 지역별로 다양하게 표현된다. 대부분의 지역에서 언청이, 곰보, 입이 돌아가는 등 신체적 불구를 가진 경우가 많은데 이를 토대로 탈을 제작한 서민들이 양반들을 얼마나 미워하였는지 확인할 수 있다.
반면 경상북도 《하회별신굿탈놀이》의 경우 양반탈이 부드러운 선으로 묘사되어 여유롭게 웃는 표정으로 묘사되어 있다.
복식도 지역별로 차이가 있는데, 해서 지역과 서울ㆍ경기지역의 경우 장삼, 옥색 두루마기, 하얀색 장삼 등 배역에 맞춰 다양하게 갖춘다. 경남지역 야류와 오광대에서는 주로 오방색 황, 청, 흑, 백, 적색의 도포 혹은 두루마기를 입는다. 무구로는 주로 부채와 지팡이가 활용되며, 지전을 들고 춤을 추기도 한다.
무용에서의 양반춤은 주로 느리고 무겁게 추며 양반의 위엄을 표현한다면, 탈춤에서의 양반춤은 주로 우스꽝스러운 몸짓으로 비정상적인 양반임을 표현하는 것이 특징이다. 특히 함께 등장하는 말뚝이가 양반을 말채로 때려 응징하거나 조롱하는 춤을 추며 양반의 권위를 떨어뜨린다. 서울ㆍ경기지역 산대놀이의 경우 양반 삼형제가 비정상적 탈을 쓰고 우스꽝스러운 몸짓의 춤을 추어 무능력한 양반임을 부각시키기도 한다. 경상남도 지역의 야류와 오광대에서도 다섯 양반 중 한 명의 양반만 탈판 위에 남겨 놓고 비비가 등장하여 양반을 괴롭히며 양반의 권위를 실추시킨다. 〈양반과장〉에서의 춤과 탈을 통해 당시 서민들이 양반에 대한 불만과 분노를 확인할 수 있다.
고성오광대: 국가무형문화재(1964) 양주별산대놀이: 국가무형문화재(1964) 통영오광대: 국가무형문화재(1964) 동래야류: 국가무형문화재(1967) 봉산탈춤: 국가무형문화재(1967) 강령탈춤: 국가무형문화재(1970) 수영야류: 국가무형문화재(1971) 송파산대놀이: 국가무형문화재(1973) 은율탈춤: 국가무형문화재(1978) 가산오광대: 국가무형문화재(1980) 하회별신굿탈놀이: 국가무형문화재(1980) 한국의 탈춤: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2022)
국립문화재연구소, 『가산오광대』, 국립문화재연구소, 2004. 김경남, 『동래야류』, 화산문화사, 2000. 김영석, 『탈: 강령탈춤』, 은하출판사, 1986. 김형근ㆍ허용호, 「탈춤의 종류와 양상」, 『탈춤』, 그래픽코리아, 2019. 박전열, 『봉산탈춤』, 화산문화사, 2001. 박진태, 『통영오광대』, 화산문화사, 2001. 서연호, 「탈춤의 시원과 전개」, 『탈춤』, 그래픽코리아, 2019. 서연호, 『황해도탈놀이』, 열화당, 1988. 심상교, 『고성오광대』, 화산문화사, 2001. 양종승, 『강령탈춤 자료집』, 민속원, 2004. 전경욱, 『은율탈춤』, 국립문화재연구소, 2003. 정상박, 『수영야류』, 화산문화사, 2001. 정형호, 『양주별산대놀이』, 화산문화사, 2000. 최창주, 『봉산탈춤 : 한국전통연희의 이해와 실제Ⅲ』,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2000. 하회별신굿탈놀이 보존회, 『하회별신굿탈놀이 연희본』, 하회별신굿탈놀이 보존회, 2014. 영상자료 2017 강령탈춤 보존회 정기발표회. 제 5과장 양반 말뚝이 춤, 『유튜브』, 「하늘하늘」, 2020. https://www.youtube.com/watch?v=9nGnPngnxQU 가산오광대 1993년, 『유튜브』, 「국립무형유산원 채널」, https://www.youtube.com/watch?v=ktf8SPkZoCg&t=238s 국립국악원 별별연희: 고성오광대ㆍ연희컴퍼니 유희(Goseong ogwangdaeㆍYeonhui Company U-hee)[2015.08.22.], 『유튜브』, 「국립국악원[National Gugak Center]」, 2020. https://www.youtube.com/watch?v=qPdTscvXbDU&t=1821s 국립국악원 별별연희: 수영야류 [2015.09.12.] 01. 수영야류(Suyeong yaryu), 『유튜브』, 「국립국악원[National Gugak Center]」, 2020. https://www.youtube.com/watch?v=XhtIQfQw0bU&t=1279s 송파산대놀이 중 열째 마당:샌님, 말뚝이, 『유튜브』, 「ArtsKoreaTV.com」, 2020. https://www.youtube.com/watch?v=f6L2u6exaZo&t=171s 송파산대놀이 중 열한번째 마당:샌님, 미얄할미, 포도부장, 『유튜브』, 「ArtsKoreaTV.com」, 2020. https://www.youtube.com/watch?v=fDGanlkp-x4&t=272s 양주별산대놀이, 『유튜브』, 「ArtsKoreaTV.com」, 2022. https://www.youtube.com/watch?v=7A1BeQEgmaI&t=9571s 제55주년 국가무형문화재 제 18호 동래야류 정기발표, 『유튜브』 , 「동래야류」, 2020. https://www.youtube.com/watch?v=IJRk_L31lgM&t=426s 제6과장 양반ㆍ말뚝이춤, 『유튜브』, 「ArtsKoreaTV.com」, 2020. https://www.youtube.com/watch?v=azHF79nwP14&t=337s 하회별신굿탈놀이 상설공연 9월21일 오후3시 재현행사, 『유튜브』, 「하회별신굿탈놀이보존회」, 2021. https://www.youtube.com/watch?v=sJOl2HzqYu4&t=2s [2020통영문화재야행] 통영오광대 공연, 『유튜브』, 「2020통영문화재야행」, 2020. https://www.youtube.com/watch?v=G9Ke_Akx9r4&t=670s
박인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