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상좌춤(四上佐춤, 봉산탈춤) 헛목춤(은율탈춤), 상좌춤놀이(송파산대놀이)
탈놀이에서 상좌 배역이 벽사의식으로 사방신에 올리는 벽사의식춤(辟邪儀式舞)
상좌(上佐)는 해서탈춤ㆍ산대놀이ㆍ오광대에서 노장을 보필하는 무언(無言)의 배역으로, 《봉산탈춤》ㆍ《강령탈춤》ㆍ《양주별산대놀이》ㆍ《송파산대놀이》 등의 탈춤에서 등장한다. 상좌춤은 탈춤판을 정화하고 성공리에 마칠 수 있기를 기원하며 연희자와 관객의 무사 안녕을 기원하는 벽사적인 의식춤이다.
상좌춤은 1779년에 공연된 본산대놀이를 묘사한 강이천(姜彛天)(1769-1801)의 한시 「남성관희자(南城觀戱子)」(1789)에서도 확인된다. ‘평평한 언덕에 새로 자리를 펼쳐[평피갱전석(平陂更展席)] 상좌 아이 깨끼춤 추는데[승추무치소(僧雛舞緇素)]’라는 구절은 〈상좌춤〉 과장을 묘사한 부분이다. 이로 볼 때 상좌춤으로 놀이판을 정화하는 전통은 적어도 18세기 무렵에는 성립되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오늘날까지 전승되는 본산대놀이 계통인 서울ㆍ경기도의 산대놀이와 황해도 탈춤에서 상좌춤은 대사 없이 탈판을 정화하는 의미의 벽사의식춤을 춘다.
본산대놀이 계통의 탈놀이는 대체로 상좌춤을 첫째 과장에서 추지만 지역에 따라서는 뒷 과장에서 추는 경우도 있으며, 상좌춤의 등장 인원도 지역마다 다르다. 중부지방 산대놀이(양주ㆍ송파ㆍ퇴계원)와 《봉산탈춤》은 첫째 과장에서 상좌춤을 추지만 강령탈춤은 제4과장, 은율탈춤은 제2과장에서 상좌춤을 추며, 인원수도 각기 다르다.
○ 구성 《송파산대놀이》, 《양주별산대놀이》, 《봉산탈춤》, 《강령탈춤》, 《은율탈춤》의 상좌춤은 공통적으로 염불장단의 거드름춤으로 합장재배춤과 동서남북을 향해 방향을 바꿔가며 사방배춤으로 시작한다. 《봉산탈춤》에서는 네 명의 상좌가 등장하여 관객의 안녕과 복을 빌고 놀이판을 정화하며, 연희자가 공연을 잘 마칠 수 있게 해 달라는 기원으로 동서남북 사방신에게 제를 올리는 의식춤을 춘다. 《강령탈춤》에서는 두 명이 상좌춤을 춘다. 상좌들은 소매가 길고 넓은 흰 장삼에 붉은 가사를 두르고, 머리에는 흰 고깔을 쓰며 목에는 긴 염주를 걸고 있다. 《은율탈춤》의 제2과장에 나오는 상좌춤(예전에는 헛목춤이라고 했음)은 흰 장삼에 흰 고깔을 쓰고 붉은 어깨띠를 양어깨에 두르고 흰 바지를 입으며, 사방에 배례하고 춤을 춘다. 《양주별산대놀이》에서는 먼저 첫째상좌가 등장하여 중앙에서 염불장단에 맞추어 처음에는 ‘판붙임’이라고 하는 합장재배의 춤을 추고, 이어서 사방의 여러 신에게 고하는 사방치기를 춘다. 그리고 팔뚝잡이, 활개펴기, 거드름을 추고 타령장단에 깨끼춤, 두루치기, 고개잡이, 깨끼리, 곱사위, 여닫이, 멍석말이 등의 춤사위로 춤을 춘다. 이어 둘째상좌가 등장해서 염불장단의 거드름춤은 추지 않고, 타령장단의 깨끼춤은 똑같이 반복하지만 생략하기도 한다.
《송파산대놀이》에서는 첫상좌가 흰 장삼에 붉은 띠 붉은 한삼과 붉은 고깔을 쓰고 나와 두 손을 모으고 염불장단에 합장재배로 인사하고 사방을 향해 삼진하여 재배한다. 손뼉장단으로 느린타령을 불러 사방으로 팔뚝잽이를 하고 활개를 펴서, 반화장ㆍ화장무ㆍ한삼치기ㆍ곱사위ㆍ거울보기ㆍ여닫이를 춘다. 다시 손뼉으로 허튼타령장단을 불러 깨끼춤류의 기본춤들을 추고 덜미잡이로 앉으면, 둘째상좌가 횐 장삼에 남색 띠 ·남색 한삼·남색 고깔을 쓰고 등장하여 대무하고, 첫상좌가 염풍댕이(연풍대)로 퇴장하고 둘째상좌는 옴중이 등장할 때까지 춤을 춘다. 《퇴계원산대놀이》 상좌춤도 사방신(四方神)에게 재배하여, 잡귀를 쫓고 연희자와 관중들의 무사를 기원하는 벽사의식무이다. 춤은 잡귀를 물리치는 동작이고, 절은 잡귀를 물리치게 해달라는 청원의 의미를 담고 있다.
《송파산대놀이》, 《양주별산대놀이》, 《봉산탈춤》, 《강령탈춤》, 《은율탈춤》의 상좌춤에는 공통적으로 염불장단으로 시작하고, 느린타령과 자진타령장단(강령탈춤은 굿거리장단)으로 이어진다. 반주악기는 피리 두 대ㆍ대금ㆍ해금ㆍ장구ㆍ북의 삼현육각으로 편성된다.
《봉산탈춤》, 《강령탈춤》, 《은율탈춤》은 기본적으로 흰 장삼과 흰 고깔에 붉은 띠 가사를 한쪽 어깨에서 대각선으로 걸치는데, 《봉산탈춤》은 고깔 꼭지만 붉은색이며, 《은률탈춤》은 붉은 띠 가사 두 개를 대각선으로 걸치고 붉은 허리띠도 두르며, 《강령탈춤》은 목에 염주를 걸친다. 《송파산대놀이》의 첫째 상좌는 붉은 한삼이 달린 흰 장삼과 붉은 고깔에 붉은 가슴 띠를 두르고, 둘째 상좌는 남색 고깔과 남색 띠를 두른다. 《양주별산대놀이》는 흰 장삼, 흰 고깔(접는 아랫부분만 붉은 색)에 붉은 띠를 허리에 맨다.
상좌춤은 몇 가지 특징을 가진다. 첫째, 탈춤판에서 고사를 지내고 신성성을 담보하는 종교의식춤이라는 점이다. 둘째, 기본적으로 첫째 과장에 등장하여 탈춤판의 시작을 고하는 ‘판붙임’이라는 인사굿의 의미를 가진다. 셋째, 상좌춤은 엄숙함과 의식성을 강조하는 무언(無言) 배역으로 염불장단의 합장재배춤은 천신에게 고하는 고천(告天)의식춤이며, 사방재배(사방치기)는 사방 제신에게 축원하며 잡귀를 쫓는 구나(驅儺) 의식춤이다. 넷째, 팔뚝잡이춤은 사방으로 하는데, 이것은 마치 술잔을 제신에게 바치는 것과 상통하는 헌작(獻酌) 의식춤이다.
양주별산대놀이: 국가무형문화재(1964) 봉산탈춤: 국가무형문화재(1967) 강령탈춤: 국가무형문화재(1970) 송파산대놀이: 국가무형문화재(1973) 은율탈춤: 국가무형문화재(1978)
박전열, 『봉산탈춤』. 화산문화, 2001. 서연호. 『황해도탈놀이』, 열화당, 1988. 이병옥. 『송파산대놀이』, 도서출판 피아, 2006. 전경욱, 『한국전통연희사전』, 민속원, 2014. 전경욱. 『은율탈춤』, 국립문화재연구소. 2003. 정형호, 『양주별산대놀이』, 화산문화. 2000. 퇴계원산대놀이보존회, 『퇴계원산대놀이』, 월인. 1999.
이병옥(李炳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