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해도굿 칠성제석거리에서 제석신령을 모시고 놀릴 때 추는 춤
제석은 자손의 수명과 복을 관장하는 신령으로 여겨 모든 지역의 무당굿에 반드시 제석거리를 연행한다. 서울굿 제석거리에는 들이숙배나숙배춤, 도무로 굿거리를 연행하여 제석거리만은 특별한 춤은 없고, 호남굿이나 동해안굿과 같은 세습무가 주재하는 제석굿도 그 지역 굿의 일반적인 춤사위를 보여준다. 반면 황해도굿의 칠성제석거리에는 제석의 특성을 보여주는 특별한 춤이 있어 이를 제석춤이라 한다.
제석은 삼국유사 〈단군왕검〉조에도 나타나듯이 오랜 역사를 가진다. 무속에서도 제석신령을 모시지만, 가정에서도 제석바가지, 제석자루로 제석신령을 모실 정도로 광범위한 신앙의 대상이기도 하다. 현재 연행하고 있는 황해도굿의 제석춤의 유래와 역사는 알기 어렵다. 오래 전부터 춘 것은 분명하지만, 기록이 전혀 없어 연원은 알지 못한다. 현재 황해도굿은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어 온전한 제석춤을 보기가 쉽지 않다. 현재 황해도굿을 연행하는 무당들은 황해도굿의 일반적인 굿춤인 도무와 연풍을 제석춤으로 알아 이 춤을 추기 일쑤이다. 앞으로 황해도굿의 제석춤은 연행 빈도가 줄어 점차 일반적인 황해도굿춤으로 대체될 것으로 보인다.
황해도굿 칠성제석거리는 만세받이장단에 맞춰 만세받이 무가로 청배하면서 시작한다. 청배 무가를 마친 후 바라를 들고 바라춤을 추면서 하늘쇠를 연다. 이것은 하늘의 문을 열어 신령을 굿청에 모시는 것이다. 뒤를 이어 굿상 앞에서 부정을 물리는 덕담 공수를 내리는데 장단은 덕담장단이다. 여기부터 본격적인 제석춤을 추는데 다양한 장단에 맞춰 여러 춤사위를 보여준다.
먼저 무당은 향탑(향로)을 들고 사방으로 분향을 한다. 이때 얼싸장단으로 반주한다. 무당은 입부정을 막고자 하미를 입에 물고 얼싸장단에 맞춰 일곱 번 절을 하는데 이럴 일러 제배라고 한다. 절을 마친 무당은 앉은 채 세 바퀴 돈 후 장구 쪽으로 몸을 돌려 벅구장단에 맞춰 벅구춤을 춘다. 벅구장단의 구음은 ‘덩쿵따’이다. 이를 ‘덩쿵따/ 덩쿵따/ 덩쿵따따/ 쿵쿵따/ 쿵쿵타/ 쿵쿵따따’로 치는 장구재비도 있다. 절을 한 만신이 무릎을 바닥에 댄 상태에서 머리를 숙이면서 어깨를 아래로 내려 양손을 휘휘 저으면서 추는 춤이다. 춤을 추면서 무당은 천천히 앉은 상태에서 일어난다. 벅구춤은 앉아서 시작하여 일어나면서 춤이 진행되고 일어나서 마치는 춤이다.
무당은 일어난 후 거상춤, 도무, 연풍으로 춤을 이어나간다. 이때는 거상장단, 춤장단, 연풍장단으로 반주한다. 춤동작이 빨라지면서 칠성검을 들고 칠성칼춤을 추면서 연풍을 돌고 도무한다. 그리고 칠성생미(주발쌀)를 칠성검에 올려서 칠성점괘를 친다. 쌀알이 짝수가 되어야 칠성님이 잘 받았다고 생각하지만 짝수 홀수 구분 없이 주는 무당도 있다. 쌀 두 톨을 의뢰자에게 복쌀로 준다. 입에 물었던 하미를 빼고 칠성검을 들고 재가집에게 칠성님 높은 공수를 준다. 그리고 용사슬을 타면서 삼현장단에 맞춰 삼현춤을 춘다. 용사슬은 동이에 밤, 대추, 사과, 돈을 넣은 것으로 ‘동이천수 바친다.’라고도 한다. 삼현춤은 동작이 단순하여 어깨를 움씰대면서 손을 가볍게 흔들면서 신령의 흥겨움을 보여준다. 바닥에서 삼현춤을 출 때는 손과 발을 함께 움직여 춤을 추는데 같은 쪽 손과 발을 드는 것이 특징이다. 이후에는 제석, 요미성수, 도사 등의 여러 신령이 들어와 춤을 추고 공수를 내리면서 굿이 이어진다.
거상춤, 도무, 연풍은 황해도굿의 모든 굿거리에서 볼 수 있는 춤이다. 특별히 제석거리에서는 분향하기, 벅구춤, 거상춤, 도무, 연풍이 이어져서 이를 제석춤이라고 이름한 것이다.
얼싸장단, 벅구장단, 거상장단, 춤장단, 연풍장단이 이어진다.
황해도굿 칠성제석거리의 굿상차림은 다른 굿거리와 동일하다. 다만 칠성밥, 생미(주발쌀), 삼색나물, 삼색과일, 밤, 대추를 따로 차려 칠성제석상을 준비하는 것이 다르다. 복식은 분홍색 치마에 연두색 쾌자, 흰색장삼을 입고 청가사, 홍가사, 백팔염주와 천주를 걸고 자주바랑을 메고 제비홍띠를 허리에 띤다. 흰 고깔을 숙여 쓰고 바라갱정을 손에 들고 굿을 시작한다. 향탑(향로), 칠성검 등을 무구로 사용한다.
황해도굿춤은 거성장단, 춤장단, 연풍장단에 맞춰 추는 것이 모든 굿거리의 공통점이다. 그런데 벅구장단에 맞춰 추는 벅구춤은 칠성제석거리에만 있고 삼현장단에 맞춰 추는 삼현춤은 칠성제석거리, 대감거리 등에 있다. 따라서 제석춤은 벅구춤과 삼현춤이 있는 특징을 보인다. 황해도굿의 여러 굿거리 중에서 이처럼 특별한 장단에 맞춰 추는 춤이 연거푸 있는 것은 제석춤이 유일하다. 굿을 연행하는 무당의 예술적 능력이 필요한 춤으로 경력이 오랜 무당 중에서도 장단에 대한 이해가 있고 굿의 흐름을 잘 아는 무당이 주로 추는 춤이다.
제석춤만 따로 지정되지는 않았고 지정된 황해도굿에 제석춤이 있다. 국가무형문화재 제90호 황해도평산소놀음굿 인천광역시 무형문화재 제24호 황해도꽃맞이굿 황해도 무형문화재 제1호 만구대탁굿 황해도 무형문화재 제5호 최영장군당굿
강석정, 『한국의 무가13-철물이굿』, 민속원, 2019. 홍태한, 「황해도굿춤의 특성과 의미」, 『공연문화연구42』, 2021.
홍태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