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의식에서 상단의 삼보(三寶)에 향기로운 꽃을 공양하며 불도성취(佛道成就)를 기원할 때 추는 춤
향화게를 범패로 부르며 추는 춤이다. 재회(齋會)에서 상단에 삼보1를 소청하여 자리에 모시고 공양하는 절차에서 7언 17구의 〈향화게〉를 연행한다. 시주의 발심(發心)으로 마련한 향기로운 꽃을 공양하여 불도성취, 즉 깨달음에 이르기를 기원하는 춤이다.
1) 부처, 부처의 가르침,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승려
18세기 이후에 제작된 감로탱에서 각종 악기의 반주 모습과 무복(舞服)을 입고 있는 도상이 확인되지만 추어진 착복춤의 종류는 알 수 없다.
의례절차에서 〈향화게〉는 『진언권공』 소수 〈작법절차〉, 『오종범음집』 소수 〈영산작법〉, 『석문의범』 소수 〈영산작법〉 등에서 확인되지만 향화게착복춤의 연행 표기는 나타나지 않는다. 따라서, 이 춤이 추어진 시기는 알 수 없으나 감로탱의 도상을 근거로 이 춤이 18세기경부터 추어졌을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 내용 향화게 7언 17구는 ‘원차향화변법계(願此香花遍法界), 이위미묘광명대(以爲微妙光明臺) 제천음악천보향(諸天音樂天寶香) 제천효선천보의(諸天餚饍天寶衣) 불가사의묘법진(不可思議妙法塵) 일일진출일체불(一一塵出一切佛) 일일진출일체법(一一塵出一切法) 선전무애호장엄(旋轉無碍好莊嚴) 변지일체불토중(遍至一切佛土中) 시방법계삼보전(十方法界三寶前) 개유아신수공양(皆有我身修供養) 일일개실변법계(一一皆悉遍法界) 피피무잡무장애(彼彼無雜無障碍) 진미래제작불사(盡未來際作佛事) 보훈일체제중생(普熏一切諸衆生) 몽훈개발보리심(蒙熏皆發菩提心) 동입무생증불지(同入無生證佛智)’이다.
이 게의 춤사위 유형은 평염불 춤사위 두 곳, 태징 반주 춤사위 두 곳, 범패로 부르며 춤추는 사위 여섯 곳으로 구분할 수 있다.
○ 구성
향화게착복춤은 7언 17구의 게(偈)를 평염불로 부를 때 추는 것, 범패로 부르는 것에 맞추어 추는 것, 태징 반주에 맞추어 추는 것 등 세 가지로 구분된다.
평염불로 진행되는 춤사위는 ‘1구에서 7구의 일일진출’까지와 ‘9구에서 14구’까지인데 작법승(作法僧)은 마주 보고 일자사위로 요신(搖身; 몸을 흔드는 동작)을 한다.
태징 반주에 맞추어 추는 춤의 위치는 첫 번째, 7구 ‘일(一)’을, 두 번째 ‘체법(切法)’을 범패로 부르며 춤을 춘 다음 추어진다. 춤사위는 기립 자세로 정면을 향하여 ‘일자사위→요신 3회’를 하고 앉는다. 앉은 자세에서 ‘요신→엎드리기→마주보기→등지기→정면 향하기→뒤로 향하기’의 순서로 오방을 향해 꽃 모으기를 하고 일어선다. 첫 번째는 각 방향에서 꽃 모으기를 1회하고, 두 번째는 3회 한다.
범패로 부르며 춤추기는 첫째 7구의 ’일(一)’, 둘째 7구의 ‘체법(切法)’, 셋째 8구, 넷째 15구, 다섯째 16구, 여섯째 17구에서 추어진다. 춤사위 구성은 ‘꽃 모으기→일자사위→전진사위→굴신→꽃 모으기→일자사위→180도 회전하기’를 기본으로 하고, 꽃 모으기, 일자사위, 회전하기 등의 춤사위가 반복적으로 추어진다.
○ 주요 춤사위
〈기립 자세〉
두 손을 좌우로 크게 펼치는 일자사위, 앞으로 나아가 자리바꿈을 하는 전진사위, 좌우로 180도로 방향을 전환하는 회전하기, 무릎을 구부렸다 펴며 뒤꿈치를 붙여 올리는 돋움새 동작의 굴신, 가슴 앞이나 단전으로 꽃을 모아 돌리는 꽃 모으기, 몸은 사선으로 흔들고 꽃은 ∞ 모양을 그리는 요신 등이다.
〈앉은 자세〉
몸을 좌우로 흔들며 뒤로 젖히고 손은 ∞ 모양을 그리는 요신, 양손을 앞으로 모으며 아래에서 위로 원을 그리듯 다시 펼치는 일자사위, 좌우로 90도, 180도, 270도로 방향을 전환하는 회전하기 등이다.
주로 태징 반주에 맞추어 춤을 춘다. 여러 장단이 사용되는데, 범패로 부르며 춤출 때는 맺는 동작에서 ‘탕(●)’을 반주하고, 태징 반주로 전환할 때는 ‘다다다다 당 당(○○○○ ○ ○)’을 반주한다. 춤이 추어지면 ‘탕탕탕 탕탕탕 다당 다당 탕 탕 닥닥(●●● ●●● ○○ ○○ ● ● ●●)’을 7회 반주하는데, 1회에서 3회까지는 기립 자세의 요신이고, 4회는 앉은 자세를 하며, 5회에서 7회까지는 요신이 추어진다. 앉은 자세에서 엎드리는 춤사위는 내림쇠(○○○○○○○○) 1회를, 오방으로 회전하며 꽃 모으기는 첫 번째 태징 반주로 출 때는 ‘닥 – 탕(● - ●)’을, 두 번째 태징 반주로 출 때는 ‘탕 탕 탕(● ● ● )’을 각 5회 반주한다. 태징 반주에 맞추어 추는 춤을 마치고 범패로 부르며 추는 춤으로 전환할 때는 ‘탕-탕탕 탕-탕탕 탕-탕탕 다당 다당 탕-탕-다당-탕 탕탕–닥(● ●● ● ●● ● ●● ○○ ○○ ● ● ○○ ● ●● ● )’을 1회 반주한다.
평상복인 회색 법복에 소매가 땅에 닿을 듯한 백색 장삼을 입고 그 위에 홍색 가사를 입는다. 경제와 완제는 홍색의 중가사(中袈裟) 위에 대령(폭 20㎝, 길이는 장삼 끝과 같이함)을 붙인다. 가슴 앞에는 황색, 녹색, 적색을 붙이고, 뒤에는 왼쪽 어깨에 청색, 녹색, 적색을 붙인다. 머리에는 연꽃과 범자(梵字) 등의 문양이 새겨진 낙관(樂冠, 고깔이라 함)을 쓴다. 손에는 작약, 목단을 들거나 꽃 없이 소매 끝을 잡기도 한다. 영제는 홍색의 반가사(半袈裟) 위에 대령을 붙인다. 앞의 좌측에는 황색, 녹색, 우측에는 청색, 적색을 붙이고 뒤에도 앞과 같이 붙인다. 머리에는 상부에 관세음보살이 새겨진 전통 낙관을 쓴다. 요즘은 경제와 같은 낙관을 쓰기도 한다. 손에는 작약과 목단을 들기도 하고 연꽃을 양손에 들기도 한다.
〈향화게〉는 『진언권공』 소수 〈작법절차〉를 비롯한 여러 의례문의 〈영산작법〉 절차에서 확인된다. 이 절차의 대강(大綱)을 살피면 ‘도량건립→삼보소청→권공의식→설법(이하 생략)’2 이다. 이 절차의 권공의식은 『석문의범』에서 두 가지 연행 방법을 제시한다. 〈헌좌게〉와 〈다게〉를 하고, 먼저 약식(略則)은 ‘보공양주→회향주→퇴공진언’으로 하고, 넓게(廣則)는 ‘향화게’로 연행할 것을 나타낸다.
이로 보면 〈향화게〉 연행은 상단의 삼보에 공양하는 넓은 의미의 의례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게를 범패로 부르는 소요시간은 범패승과 의례현장의 상황에 따라 차이를 보이고, 영제에서는 이 춤이 전승되지 않는다.
2) 안진호, 『석문의범』上, 법륜사, 1983, pp.112-132.
〈의례문〉 안진호, 『석문의범』, 법륜사, 1983. 『오종범음집』(『한불전』12) 학조, 『진언권공』(『한의총』1)
(원명)최명철(崔命哲)