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발(鳴鈸)
불교의식에서 재회(齋會)에서 도량1건립의 당위성을 알리기 위해 바라를 크게 치면서 추는 춤
1) 불교의 수행 장소, 원래는 ‘석가모니부처님이 도(道)를 이룬 땅'을 의미함
명바라춤은 도량 건립의 첫 절차인 〈할향(喝香)〉을 연행하기 전에 도량 건립에 대한 당위성을 법계의 성현에게 알리기 위해 바라를 크게 울리면서 추는 춤이다. 재회의 종류에 따라 절차의 차이는 있으나 일반적으로 ‘신중작법→도량건립→상단→중단→하단→봉송’의 절차로 구성한다. 혹 상단에 삼보의 소청의식을 하기 전에 추기도 한다.
16세기에 제작된 약선사(藥仙寺) 감로탱화를 비롯하여 이후에 제작된 감로탱화의 중앙에 제단이 배치되어 있고, 왼쪽에 범패승(梵唄僧)이 금강령(金剛鈴), 꽹과리(小金), 경자(磬子), 법고(法鼓) 등을 연주하거나 들고 춤추는 도상이 확인된다. 하지만 춤의 종류는 알 수 없다.
의례절차를 보면, 1496년 간행된 『진언권공(眞言勸供)』 소수 〈작법절차(作法節次)〉의 협주(夾註)에 “대중이 처음 법당에 들어가 향을 올리고 바라를 울리면[명발(鳴鈸)] 인도(咽導)2는 할향을 한다.”라고 밝히고 있다. 이 절차는 1661년 간행된 『오종범음집(五種梵音集)』 소수 〈영산작법(靈山作法)〉, 1634년에 간행된 『영산대회작법절차(靈山大會作法節次)』, 1694년 간행된 『제반문(諸般文)』 소수 〈거영산작법절차(擧靈山作法節次)〉 등에서도 확인된다. 이를 통해 15세기에는 명바라춤이 추어졌을 것으로 추측되지만 정확한 연행 시기는 알 수 없다. 현재는 각종 재회에서 명바라춤이 추어지고 있다.
이 춤은 〈명발〉이라고도 한다. 〈명발〉은 바라를 크게 울리면서 춤추기 때문에 부르는 명칭이다. 이와 유사한 용어인 동발(動鈸)은 “명발 후 대회소(大會疏)를 읽고 바라를 세 번 친다(動鈸三㫖).”라고 한다. 이는 바라를 쳐서 울리는 연행을 말하는 것으로, 〈명발〉과는 차이가 있다.
2) 의식을 거행하는 범패승
○ 내용
명바라춤은 작법절차의 도량 건립에서 추어진다. 도량 건립은 ‘도량개계(道場開啓)→도량결계(道場結界)→도량정화(道場淨化)’의 순서이고, 도량개계는 ‘할향→연향게→할등→연등게→할화→서찬게(이하 생략)’의 절차로 구성된다. 이 춤은 도량개계 중 할향을 연행하기 전에 악기 반주에 맞추어 추어지는 춤이다. 이 절차는 《수륙재》, 《영산재》, 《예수재》 등 대체로 규모가 큰 재회에서 추어진다.
명바라춤의 춤사위는 기립 자세와 앉은 자세로 구분할 수 있다. 앉은 자세는 바라 끝을 치는 내림쇠, 가르기, 실어올리기 등으로 도입부에 해당하고, 기립 자세는 ‘제자리→전진사위→자리바꿈→전진사위→제자리’의 구성으로 전개부와 종결부의 춤사위다.
○ 구성
명바라춤은 도입부와 전개부, 종결부로 구분되며, 전승 지역과 계보에 따라 춤사위가 다르다.
〈도입부〉
경제ㆍ완제는 태징으로 전주(前奏)를 3회 한다. 기립 자세로 정면을 향해 내림쇠 3회, 크게 치기를 3회하고, 바라를 내려놓고 삼배(三拜)한 다음 꿇어앉아 바라를 든다. 앉은 자세에서 내림쇠 3회, 크게 치면서 가르기 3회, 실어올리기 4회를 하고, 머리 위에 올린 채로 일어선다.
영제는 앉은 자세로 마주 보고 바라를 크게 치기 3회, 바라를 내려놓고 합장한다. 다시 바라를 들고 크게 3회 치고, 가르기와 접바라를 하고 내리며 일어선다.
〈전개부〉
경제ㆍ완제ㆍ영제 모두 기립 자세에서 ‘제자리→전진사위(1)→자리바꿈→전진사위(2)→제자리’의 구성이다. 경제ㆍ완제는 이 구성을 3회 반복하고, 영제는 이 구성을 2회 진행한다. 경제ㆍ완제에서 1회의 전진사위(1)은 ‘머리 위에서 바라 끝 치며 나아가기→교차할 때 바라를 앞으로 내리기→바라를 크게 치며 나아가기’로 자리바꿈을 완성하고, 이어서 ‘좌로 180도 회전→접바라’를 춘다. 이 춤사위는 ‘전진사위(2)→제자리’도 같다. 2회의 전진사위(1)은 지그재그로 나아가고, 마지막에 바라를 앞으로 모은다. 3회의 전진사위(1)은 바라를 앞으로 모아 바라 끝을 가볍게 치면서 지그재그로 나아가 자리바꿈을 하고, 회전하기 후에 실어올리기 4회, 가르기 4회를 춘다. 이 춤사위는 ‘전진사위(2)→제자리’도 같다.
영제는 2회 중 1회는 ‘가르기→접바라→4번 치며 지그재그로 나아가기→교차할 때 마주 보고 접바라 2회→4번 치며 지그재그로 나아가기’로 자리바꿈을 완성하고, 이어서 ‘4번 치며 좌로 180도 회전하기’를 한다. 이 춤사위는 ‘전진사위(2)→제자리’도 같다. 2회의 전진사위는 바라를 앞으로 모아 펼치고 끝을 가볍게 치며 나아가는 춤사위이다.
〈종결부〉
경제·완제는 정면을 향하여 내림쇠를 3회하고 크게 1회 치고 절하여 마친다. 영제는 제자리에서 마주 보고 가르기를 하고 접바라로 붙인 다음 내리며 절하여 마친다.
○ 주요 춤사위
발동작의 전진사위는 머리 위에서 바라 끝을 가볍게 치며 나아가기, 교차할 때 바라를 앞으로 내려 크게 치면서 나아가기, 몸을 좌우로 돌리며 한 보 나아갈 때마다 굴신하며 머리 위의 바라를 가볍게 치기, 바라를 단전 앞에 펼쳐서 끝을 가볍게 치면서 지그재그로 나아가기 등의 유형이 있다. 손동작의 가르기는 왼손을 머리 위로 올리고 오른손은 단전까지 내린다. 연속될 때는 반대 동작으로 좌우로 90도 회전하며 춘다. 실어올리기는 바라를 모아 머리 위로 밀듯이 올리는 춤사위다. 경제ㆍ완제는 치면서 올리고, 영제는 치는 동작 없이 붙여 올린다. 앉은 자세는 제자리에서 추고, 기립 자세는 좌우로 90도, 180도 회전하기의 두 가지 유형이 있다.
반주 악기는 꽹과리, 태징, 북, 목탁, 호적 등이고 경제·완제는 태징을, 영제는 꽹과리를 중심 악기로 사용한다.
경제·완제는 전주로 ‘탕탕탕탕탕탕 닥닥(●●●● ●●)’을, 절할 때와 바라 끝을 치는 춤사위는 내림쇠(○○○○○○○○○○○)를, 바라를 크게 칠 때는 ‘다당 탕탕 탕 탕 탕(○○ ●● ● ●●)’을, 가르기와 실어올리기를 출 때는 ‘탕(●)’을 호적과 함께 춤사위가 끝날 때까지 연속적으로 반주한다.
영제의 연결 장단은 ‘당 당 탕 닥닥(○○ ● ●●)’이고, 춤이 추어질 때는 ‘탕 탕 탕 다다 (● ● ● ○○)’를 기본으로 변화된 장단 ‘탕다 당다 탕 다다(●○ ○○ ● ○○)’을 비롯한 9소박(5소박 앞의 2소박 + 7소박)과 12소박(5소박 + 7소박) 등의 장단을 각 3회, 5회, 7회 등으로 반주하고, 마무리는 내림쇠(○○○○○○○○○○○)로 한다. 춤이 추어질 때는 ‘탕 당 탕 다다 (● ○ ● ○○)’로 연주하고, 마무리는 내림쇠(○○○○○○○○○○○)로 한다.
본래 〈바라춤〉은 회색 장삼과 홍가사를 입고 양손에 바라를 들고 춤추는 것으로 전승되어 왔으나, 현재는 각 종단의 가사를 입거나 착복춤의 복식을 착용하기도 한다. 이는 〈바라춤〉과 〈착복춤〉을 추는 작법승이 필요에 따라 복식을 갖추는 번거로움을 해소하기 위한 것이다. 낙관(樂冠)은 쓰지 않는다. 무구로는 양손에 바라를 들고 춤춘다.
악기 반주에 맞추어 추어지는 바라춤에는 명바라춤을 비롯하여 〈요잡바라춤〉, 〈내림게바라춤〉, 〈관욕쇠바라춤〉 등이 있다. 대부분 바라 끝 치기, 가르기, 실어올리기의 간단한 춤사위가 반복적으로 추어진다. 하지만 이 춤은 전진사위를 중심으로 넓은 공간을 활용하며, 기립 자세와 앉은 자세 등 다양한 춤사위를 구사한다는 점에서 예술적 의미가 있다.
〈의례문〉 『영산대회작법절차』(『한의총』2) 『오종범음집』(『한불전』12) 『제반문』(『한의총』2) 학조, 『진언권공』(『한의총』1) 〈자료〉 약선사 감로탱화(1589, 나라박물관 소장) 보석사 감로탱화(1649,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흥국사 감로탱화(1868) 봉은사 감로탱화(1892) 흥천사 감로탱화(1939)
(원명)최명철(崔命哲)