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행 《대풍류》의 마지막 악곡으로 빠른 속도의 휘모리장단으로 연주되는 악곡
《대풍류》의 마지막 곡으로, 승무 반주에 사용된다. 휘모리장단으로 연주되며 기본 악구를 중심으로 여러 번 반복, 변주해 나가는 형태의 악곡이다.
당악은 여러 지방의 굿에서 연주되었으며 특히 무당이 접신의 경지에 오를 때 연주되었던 악곡이다. 현재는 《대풍류》의 마지막 구성 악곡으로 연주하며, 승무 반주에도 사용된다.
○ 역사 변천 과정, 연행 시기 및 장소
1969년 지영희 『피리교본』에 의하면 당악은 《대풍류무용곡》의 마지막 악곡으로 휘모리장단으로 기재되어 있다. 지영희는 당악 장단에 관한 해설을 남겼는데, 이를 옮겨보면 다음과 같다.
“당악은 4박으로 되어 있다. 이 장단은 느리게 칠 수도 있고 빨리 칠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 치되 잔가락은 임의대로 넣어도 좋다. 이 장단은 ‘중국에서 왔다’고 하여 당악이라 하지만 세계를 통한 박이다. 우리 말로는 휘모리 자진가락이라 부르고, 영어로는 트위스트라고 부른다. 젊은 세대에 제일 좋아하는 박자고, 농악에서도 흥미 있게 치는 박이다. 악보에는 대강 그렸으나 손이 부드러우면 아무 가락을 박자에 맞게만 넣으면 신이 나는 박자 휘모리”
위의 해설에 의하면 당악은 신명 나는 휘모리장단에서 연주되는 악곡으로, 여러 지방의 굿 의식에서 연주되었다. 당악은 무당이 접신을 위한 춤을 출 때 연주하는 빠른 속도의 곡으로 분위기 변화를 분명하게 만들며, 굿의 거리가 진행될수록 더 많이 사용되는 경향이 있다. 만일 공수 다음에 당악이 연주되면 다른 신격이 무당에게 들려 있기도 하다. 이처럼 당악은 빠른 속도의 음악에 반복적인 춤을 추면서 무당은 무아경의 경지인 최절정 신명의 세계로 가게 된다. 〈승무〉에서도 당악은 4박의 빠른 속도의 삼현육각 반주로 신명을 끌어내는 역할을 담당한다.
○ 음악적 특징 당악은 ‘당나라의 음악’을 뜻하기보다는 ‘중국음악 스타일’이라는 의미를 가진다. 그것은 음악이 가지고 있는 특성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이는데 《대풍류》 구성악곡 중 도드리, 타령, 굿거리 장단의 음악은 한 박이 3소박으로 나누어지나, 당악은 한 박이 2소박으로 나누어지며 굉장히 빠르게 연주된다. 선율 역시 한반도에서는 드문 도선법으로 진행된다. 이에 연주자들은 이 악곡을 ‘중국음악’ 스타일로 인식하였던 것 같고, 그것을 곡명에 담아 구전으로 전승한 것으로 보인다. ○ 악기편성 삼현육각 편성으로 연주한다.
이 악곡은 현장에 맞게 즉흥적 대응을 해나갔던 삼현육각 음악인의 음악생성 형태를 파악해 볼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성금연, 『지영희 민속음악연구자료집』, 민속원, 2000. 김영미(1998), 「한영숙류 승무의 당악과장에 대한 형태분석」, 세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송정아(2012), 「심상건 가야금 산조 연구: 당악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황광엽(2001), 「대풍류의 선율 구조 특징에 관한 연구: 피리선율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진윤경(秦潤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