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소로 연주하는 산조
단소산조는 단소로 연주하는 산조로 주로 계면조로 이루어져 있다. 단소산조의 창시자는 추산 전용선(秋山 全用先, 1890~1965)으로 알려져 있으며 전용선 외에도 한문숙(韓文淑 ), 유동초(柳東初), 강봉근, 최옥삼(崔玉三, 1905~1956)등에 의해 단소 산조가 연주되었다.
단소산조의 명칭에 대해 살펴보면 「경성방송국 국악방송국 목록」에는 산조(단소), 단소독주(산조) 등으로 기록되어 있고, 전용선의 음원 자료에는 단소산조, 〈단소 독주〉, 〈단소 시나위〉라고 하였다. 또한 최옥삼의 자료에는 단소산조, 〈신아우〉라고 하였다. 이처럼 단소산조는 여러 이름으로 불리었으나 지금은 단소산조로 통일하여 부른다.
「경성방송국 국악방송 곡 목록」을 통해 단소산조가 이미 1930년대 중후반에 연주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방송국 목록에 기록된 단소산조 연주자는 한문숙, 유동초, 강봉근이다.
“35.6.23(일) 20:30- 매일 短簫獨奏<진양조, 중모리, 휘모리> 韓文淑(短簫)/金造史(長鼓)), 36.6.18(목)21:35- 매일 散調와 洞簫獨奏 <散調(短簫), 새타령<洞簫> 柳東初/丁元燮(鼓手)>, 37.8.28(토) 21:15- 東亞 短簫獨奏<散調 진양조, 중모리, 자진모리> 姜奉根”
또한 방송국 기록엔 없으나 단소산조의 창시자로 알려진 전용선과 북한의 단소 연주가 전동환에게 단소산조를 전승한 최옥삼이 있다. 이처럼 전용선이 활동하던 같은 시기에 여러명의 단소산조 연주자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방송기록에 보이는 단소산조의 음원은 남아 있지 않다. 다행히 방송기록엔 없으나 최옥삼의 연주 음원과 전용선의 연주 음원이 현재까지 전해져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
○ 음악적 특징
옛 자료를 살펴보면 단소산조는 진양조-중모리-중중모리-자진모리로 이어지는 산조의 전 장단이 포함된 자료는 없다. 「경성방송국 국악방송 곡 목록」 기록을 보면 한문숙은 진양조-중모리-휘모리로 연주했고 강봉근은 진양조-중모리-자진모리로 연주했다. 한편 최옥삼은 진양조와 중모리를 연주했으며, 전용선은 진양조-중모리, 진양조-중모리-자진모리-빠른자진모리, 중모리-중중모리-자진모리-푸는 중모리, 중모리-중중모리-자진모리-푸는 중모리, 중모리-중중모리 등으로 연주했다.
이들 중 현재 학술적으로 연구된 단소산조는 최옥삼과 전용선의 산조이다. 연구된 자료들을 살펴보면 단소산조는 주로 계면조로 이루어졌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전용선의 단소산조에서는 빈번한 전조가 보인다. 전용선의 단소산조에 가장 많이 나오는 조성은 C본청 계면조와 G본청 계면조인데 이 두 계면조는 서로 넘나들며 본청과 변청 관계가 아닌 모두 본청으로 사용되었다.
○ 악기편성
단소산조는 단소 독주와 장구 반주로 이루어져 있다.
단소는 취구가 작고 지공의 개수가 적어 산조의 필수라 할 수 있는 농음의 구사가 매우 어렵다. 이러한 단소의 한계를 극복하고 만들어진 것이 바로 단소산조이며 이를 통해 단소의 음악적 영역이 넓어졌다.
박준라, 「이생강 단소산조 진양조 선율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이용구, 「추산 전용선의 단소산조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이진원, 『단소산조·퉁소산조·피리산조 형성 시기 재검토』, 국립국악원, 2003. 이진원, 「최옥삼(崔玉三 ) 단소산조 연구」,『월북국악인 연구』, 2013. 이진원, 「종취관악기의 전통적 주법 연구: 퉁소와 단소를 중심으로」,『국악 교육』, 1997. 이진원, 『단소산조 명인 전추산의 ‘가계·학습내력 및 국악상 시상’에 대한 검토』, 한국 악기학 7, 2010. 황미연, 「추산 전용선의 삶과 예술」, 『신소 전추산 명인 첫 추모 논문 발표회』, 2005. 김기수, 『단소 울보』, 은하 출판사, 1991. 김해숙, 『산조 연구: 가야금, 아쟁, 단소』, 세광음악출판사, 1995. 문화재관리국 문화재연구소, 『산조』, 문화재관리국 문화재연구소, 1987. 박형섭, 『단소 교 측 본』, 조선문학예술총동맹 출판사, 1965. 예용해, 『인간문화재』, 대한교과서 주식회사, 1959. 이진원, 『신비의 가락 추산 전용선 단소』해설집, 서울 음반, 1996. 전북대 박물관, 『정읍지역의 민속예능』, 전북대 박물관, 1992. 정읍문화원,『정주·정읍문화예술사』, 정읍문화원, 1991. 황미연, 『정읍 국악사』, 정읍시·우리문화진흥회, 2004.
이용구(李鎔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