둥근 저울추 모양의 울림통에 다섯 개의 지공을 뚫고 취구에 입김을 불어 넣어서 연주하는 관악기
훈은 흙을 빚어 생활 도구를 만들던 토기 시대부터 인류가 손쉽게 만들어 연주하기 시작한 악기로 보인다. 중국의 고전인 『시경』에 훈이 소개되었으며, 상고 시대부터 아악(雅樂)의 필수 악기로 정착되어 수천 년 동안 전승되었다. 우리나라에는 고려 예종 11년(1116)에 송에서 들여온 대성아악(大晟雅樂)에 포함되어 다른 아악기와 함께 유입되었다. 이후 조선의 세종 때 훈의 체제를 정리하여 새롭게 제작한 이후 지금까지 큰 변화 없이 전승되고 있다. 고려부터 조선 시대까지는 훈이 열 개까지 편성된 적도 있었으나 현재의 《사직제례악》이나 《문묘제례악》에는 훈을 한 개만 편성한다.
○ 구조와 형태
중국에서 사용하는 훈으로는 저울추 모양, 달걀 모양, 공 모양 등 여러 가지가 있는데, 우리나라에서는 바닥이 평평하고 몸체가 둥근 저울추 모양을 사용한다. 『악학궤범』에 의하면 훈을 제작할 때 일정한 기준이 없으며, 속이 넓고 좁은 것과 혹은 덜 구워지거나 많이 구워진 것에 따라 성음이 같지 않으므로 훈을 최대한 많이 만들어 이 중에서 율관(律管)에 맞는 것을 골라 쓰도록 하였다.
훈은 몸체에 취구와 다섯 개의 지공을 뚫어 제작하며, 악기의 앞쪽에 세 개의 지공을, 뒤쪽에 두 개의 지공을 둔다. 진흙을 빚어서 훈을 만든 후 불에 구울 때는 유약을 발라 색깔과 윤기를 낸다. 우리나라에서는 훈이 주로 제례악에 사용되었기 때문인지 전통적으로 검은색을 써 왔다.
○ 음역과 조율법
훈은 한 옥타브 내 12율을 소리낸다. 지공 다섯 개를 다 막으면 황종(黃鍾) 음이 나고 다 열면 응종(應鍾) 음이 난다. 『악학궤범』에 수록된 훈의 지법과 산형은 현행과 같다.
○ 연주방법
훈은 뒤쪽의 두 개 지공을 양손 엄지로 잡고, 앞의 세 개의 지공은 오른손 검지와 중지, 왼손 검지로 감싸듯이 잡아서 지공을 열고 막으며 연주한다. 훈을 양손으로 잡고 양팔로 편안하게 올려 연주 자세를 잡으며, 동그란 취구에 아랫입술을 대고 입김을 불어 넣는다.
○ 연주악곡 《사직제례악》, 《문묘제례악》
훈은 중국 고대의 악기로 우리나라에는 고려 예종 11년(1116)에 송나라에서 들여와 아악 연주에 사용되었다. 조선 세종 때 훈의 체제를 정리하여 새롭게 제작한 이후 지금까지 큰 변화 없이 전승되고 있다.
『악학궤범』
국립국악원, 『이왕직아악부와 음악인들』, 1991. 송혜진, 『한국악기』, 열화당, 2001. 이혜구, 『한국음악학학술총서 제5집: 신역 악학궤범』, 국립국악원, 2000. 장사훈, 『한국악기대관』,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7.
한영숙(韓英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