흙을 구워서 만든 질화로(火爐) 모양의 항아리를 끝이 갈라진 대나무 채로 두드려서 연주하는 타악기
부는 중국 고대의 악기가 전해진 것으로, 진(秦)나라와 조(趙)나라 왕이 민지(澠池)에 모였을 때 조나라 왕이 진나라 왕을 위하여 부를 쳤다는 고사(故事)가 전한다. 부는 1116년(고려 예종 11)에 송(宋)에서 들여온 대성아악(大晟雅樂)에는 보이지 않는다. 우리나라에서는 조선 초기부터 여러 제례악의 연주에 편성되었고, 세종 때는 음높이가 서로 다른 부를 만들어 아악을 연주할 수 있게 하였다. 세종 때부터 성종 때까지 제례악 연주에는 열 개의 부가 편성되었고, 열 명의 연주자가 이를 연주하였다.
『악학궤범』에는 음이 서로 다른 부를 만들 때 진흙을 빚는 두께로 그 음을 조절한다고 기록했다.
현재는 《사직제례악》이나 《문묘제례악》을 연주할 때, 댓돌 아래 악대인 헌가(軒架)에 한 대만 편성한다.
○ 구조와 형태
부는 흙을 구워서 만든 질화로 모양으로, 바닥은 평평하며 그 직경이 24.5㎝ 정도 된다. 위쪽 지름은 31.5㎝, 높이는 22㎝ 정도이다. 부의 겉면에는 검은 칠을 했고, 안쪽에는 붉은 칠을 하였다. 부를 연주할 때 사용하는 채를 진(籈)이라 한다. ‘진’은 대나무로 만들며 손잡이 부분을 제외한 아래쪽이 아홉 가닥으로 갈라져 있다.
○ 연주방법 네모난 나무 받침대 위에 부를 올려놓고, 아홉 조각으로 쪼갠 대나무 채로 위쪽 가장자리를 두드린다. 음색은 부에 채가 맞닿으면서 ‘탁 탁 탁 타다다다…’하고 거칠고도 뚜렷한 소리가 난다. 《사직제례악》, 《문묘제례악》에서는 각 음마다 일정한 패턴을 반복해서 한 번씩 친다.
○ 연주악곡 《사직제례악》, 《문묘제례악》
부는 중국 고대의 악기가 전해진 것으로 우리나라에는 조선 초부터 여러 제례악에서 사용되었다. 부는 처음부터 지금까지 제례악에서 연주되었던 대표적인 아악기이며, 현재는《사직제례악》과 《문묘제례악》의 헌가에 편성된다.
『악학궤범』
국립국악원, 『이왕직아악부와 음악인들』, 1991. 송혜진, 『한국악기』, 열화당, 2001. 이혜구, 『한국음악학학술총서 제5집: 신역 악학궤범』, 국립국악원, 2000. 장사훈, 『한국악기대관』,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7.
한영숙(韓英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