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보살님이나 불조(佛祖)의 공덕을 찬탄하는 염불
부처님이나 여러 신장들을 부르며 그들의 공덕을 찬양하는 소리로, 대상에 따라 사설이 달라진다. 따라서 많은 종류의 가영이 있고, 고혼청에 응한 영가는 불연(佛緣)에 대한 찬탄으로 가영을 부르기도 한다. 본래 안채비소리, 홑소리, 짓소리 등으로 다양하게 부르지만, 현재 짓소리는 전승이 단절되고 주로 평염불이나 안채비소리로 부른다. 홑소리에는 ‘가영성’이 따로 있다.
오늘날의 형태가 언제부터 있었는지 정확히 알기는 어렵다. 그러나 불보살을 찬탄하는 소위 찬불 의례가 존재했던 때부터 전승되어 온 것으로 보인다.
○ 용도 대령, 관욕, 신중작법, 영산작법(상단권공), 관음시식 등에서 소례(所禮)이신 부처님, 관세음보살, 인로왕보살, 지장보살 등의 공덕을 찬탄하는 찬불 의례 절차에서 쓰이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재자(齋者)들의 청에 응하신 불보살님을 환영하며 모시는 〈향화청〉 직후에 거행된다. ○ 음악적 특징 평염불 가영은 원만한 선율로 진행되지만, 고유의 선율 형태가 나타난다. 안채비소리, 홑소리, 짓소리도 부를 때에도 각각 특정한 선율 형태를 가진다. 3소박의 불규칙한 박자로 불리며, 불교음악의 주요 음악어법(경상도 음악어법)인 메나리토리(미(mi)-솔(sol)-라(la)-도(do′)-레(re′))를 근간으로 한다. 다소 느리며 길게 뽑는 듯한 진행이 많다. 찬불 의례의 특성상 대중이 동음(同音)으로 함께 거행하는 방식으로 불린다.
《영산재》 〈영산작법(상단권공)〉의 가영 가사는 다음과 같다. 소례이신 관세음보살님께서 도량에 강림하셨음을 전제로 그간의 영험 설화 가운데 일례를 들어 게송으로 찬탄한 내용이다. 一葉紅蓮在海中 碧波深處現神通 昨夜寶陀觀自在 今日降赴道場中 故我一心歸命頂禮 붉은 연꽃 한 잎사귀 바다 가운데 떠 있는데 푸른 파도 깊은 곳에 신통으로 몸 나투시고, 어제 저녁 보타산에 계시옵던 관자재보살께서 오늘은 이 도량의 동쪽 편에 강림하셨습니다. 하옵기로 제가 일심으로 귀명하오며 정례를 올리나이다.
심상현, 『중요무형문화재 제50호 영산재』, 국립문화재연구소, 예맥출판사, 2003, 232쪽.
가영은 화려한 선율을 가진 범패는 아니지만, 찬불 의례에서 불보살의 공덕을 찬탄하는 중요한 역할과 다양한 염불 형태로 오랫동안 면면히 전승되어온 염불 중 하나이다.
법현, 『불교의식음악연구』, 운주사, 2012. 심상현, 『불교의식각론Ⅴ』상주권공(상), 한국불교출판부, 2001. _____, 『중요무형문화재 제50호 영산재』, 국립문화재연구소, 예맥출판사, 2003.
손인애(孫仁愛)