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모 상자 모양의 받침대 위에 비스듬히 올려놓고 치는 북으로 궁중 제례악의 등가(登歌)에 편성되어 음악의 시작과 끝을 알리고 악절에 맞추어 음악의 절주(節奏)를 조절하는 타악기
북송(北宋)의 진양(陳暘, 1068~1128)이 쓴 『악서(樂書)』에 “강좌[江左: 남북조 시대의 남조를 뜻함. 양자강의 동쪽 지방. 지금의 강소성]의 청악(淸樂)에 절고가 있으니, 바둑판처럼 생긴 판을 붉게 옻칠하고 그 위에 그림을 그렸으며, 가운데에 둥글게 구멍을 뚫어서 거기에 북을 넣고, 그것을 두드려서 음악의 절도를 맞추었다.
당나라 이래로 아악의 등가에 쓰였으니, 부휴혁(傅休奕)의 〈절고부(節鼓賦)〉에 ‘종이 울리는 가운데 노래하고 구소(九韶)에 맞추어 춤추니, 절도가 맞지 않으면 입으로 노래하지 않고, 절도에 맞지 않으면 손으로 두드리지 않네.’라고 한 것이 이것이다.”라고 하였다. 또 『당육전』을 인용하며 “악현에 진설된 축(柷)ㆍ어(敔)와 마찬가지로 등가악을 시작하고 그치게 하는 용도로 절고가 쓰였으며, 그 제도로는 오채색으로 꾸민 이중 덮개가 있고, 청악부[수나라 9부기(九部伎)를 이어받은 당나라 10부기(十部伎) 중 하나]에 쓰였다.”라고 하였다. 즉 중국에서 절고를 사용한 것은 남북조 시기부터이며, 청악에 편성되어 음악의 절주를 조절하였으므로 그 이름을 절고라 한 것이다. 이 시기 절고의 형태는 『세종실록』 「오례』와 『악학궤범』에 그려진 절고와 유사하다. 당나라 시기 이후 아악의 등가에 편성되어 음악을 시작하고 그치게 하는 용도로 사용되었고, 우리나라 문헌에는 세종대 이후 등장한다. 현재까지 제례악의 등가에 편성되고 있다.
○구조와 형태 ㆍ방대(方臺): 사각형 상자 모양의 받침대. 이 위에 북을 비스듬히 올려놓는다. ㆍ북통과 북면: 북통 양쪽 북면에서는 쇠고리가 달려 있다. 북통 색깔은 검붉은 자주색이고 양쪽 북면의 중앙에는 삼태극 문양을 그려 넣는다. 북면의 가장자리에는 청ㆍ홍ㆍ흑ㆍ녹ㆍ황색의 오색 무늬가 있다. ㆍ목퇴(木槌): 나무로 만든 채
네 면이 모두 막힌 사각형 상자 모양의 받침대 위에 북통을 얹을 수 있는 오목한 받침 둘이 서로 다른 높이로 놓여 있다. 채로 연주하는 북면을 반대쪽 면에 비해 약간 위로 향하게 둔다. 『문헌통고』에는 “그 모양은 바둑판같으며 그 위에 주칠(朱漆: 누런색이 조금 섞인 붉은색의 칠)을 하고 그림을 그린다. 가운데에 둥근 구멍을 뚫어서 북의 끝을 넣기에 알맞게 한다.”라고 하였다. 북통 양쪽 북면에서는 쇠고리가 달려 있다. 북통의 색깔은 검붉은 자주색이고 양쪽 북면의 중앙에는 삼태극 문양을 그려 넣는다. 북면의 가장자리에는 청ㆍ홍ㆍ흑ㆍ녹ㆍ황색의 오색 무늬를 넣는다. 절고는 나무로 만든 채[木槌]로 쳐서 연주한다.
○연주방법과 기법
연주자는 바닥에 앉아 나무로 만든 북채로 삼태극이 그려진 북면의 중앙을 친다. 제례악의 등가에 편성되어 음악의 시작을 알리는 악작을
<축(柷)>과 함께 연주하고, 음악이 끝남을 알리는 악지를 <어(敔)>와 함께 연주한다.
〈문묘제례악〉에서는 매 악구의 끝(노랫말 한 구를 이루는 네 글자 중 마지막 글자)에 절고를 두 번 쳐서 악구를 명확하게 구분한다. 〈종묘제례악〉에서는 각 악곡의 악구 처음과 악곡의 종지에 치며, 몇몇 악곡에서는 종지 부분에서 편종(編鐘)ㆍ편경(編磬)의 동음 반복 음형에 맞추어 세 번 연달아 치기도 한다. 이러한 절고의 기능은 헌가에서의 진고 역할과 유사하다.
○연주악곡 현재〈문묘제례악〉, 〈사직제례악〉, 〈종묘제례악〉, 〈경모궁제례악〉, 〈정동방곡〉, 〈유황곡〉연주에 편성된다.
○제작 및 관리 방법 북을 제작하는 일반적인 순서에 따라, 북통의 재료가 되는 나무를 고르고, 북통을 만들고, 가죽을 다루어 북을 메우고, 색을 칠하고, 북 틀과 장식을 만든다.
절고는 천ㆍ지ㆍ인을 대상으로 하는 제례의식에서 모두 울렸다. 오랜 세월 동안 궁중 제례악의 등가에 편성되어 음악의 시작과 끝을 알리고, 리듬과 악절을 구분하는 역할을 해오고 있다.
국립고궁박물관 편, 『왕실문화도감 궁중악무』, 국립고궁박물관, 2014. 국립국악원 편, 『악학궤범』, 국립국악원, 2011. 김영운, 『국악개론』, 음악세계, 2015. 문봉석, 「신에게 바치는 신명의 울림, 절고ㆍ진고」, 『한국의 악기 2』, 국립국악원, 2016, 208~229쪽. 송혜진 글ㆍ강원구 사진, 『한국 악기』, 열화당, 2001. 송혜진ㆍ박원모 글, 현관욱 사진, 『악기장ㆍ중요무형문화재 제42호』, 민속원, 2006. 이지선 해제ㆍ역주, 『한국음악학학술총서 제10집: 조선아악기사진첩 건, 조선아악기해설ㆍ사진첩, 이왕가악기』, 국립국악원, 2014. 이혜구 역주, 『한국음악학학술총서 제5집: 신역 악학궤범』, 국립국악원, 2000. 진양 지음, 조남권ㆍ김종수 옮김, 『역주 악서 5』, 소명출판, 2017.
최선아(崔仙兒)