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부합장게, 공양게, 합장게송
5언 4구로 된 한문정형시로 된 게송으로, 홑소리의 대표적인 악곡
불교의식의 한 절차로, 《상주권공재(常住勸供齋)》와 《시왕각배재(十王各拜齋)》에서는 〈할향〉, 〈등게〉, 〈정례〉에 이어 4번째 순서에 해당되며, 《영산재》, 《예수재》, 《수륙재》 등과 같은 큰 규모의 재 의식에서 행해지는 ‘영산작법’에서 〈할향〉, 〈연향게〉, 〈할등〉, 〈연등게〉, 〈할화〉, 〈서찬게〉, 〈삼귀의(대직찬·중직찬·소직찬 이하) 〉, 〈개게소(수설대회소) 〉에 이어 나오는 순서로, 두 손을 합장하며 불법을 찬탄하는 내용으로 이루어진 5언 4구의 게송이다.
가장 상용화된 천도의식인 《상주권공재》와 명부신앙의례인 《시왕각배재(대례왕공문)》, 그리고 규모가 큰 불교의식인 《영산재》, 《예수재》, 《수륙재》 등과 같은 불교의식에서 두 손을 합장하며 불법을 찬탄하는 절차로, 조선시대 『영산대회작법절차』(1634)에 합장게가 처음 등장한다.
○ 역사적 변천 과정
합장게는 불교의식 중 상용화된 천도의식인 《상주권공재》, 명부시왕 의례인 《시왕각배재(대례왕공문)》, 그리고 《영산재》, 《예수재》, 《수륙재》 등의 큰 규모의 불교의식에 나오는 절차이다. 합장게는 1634년에 간행된 『영산대회작법절차』에서 10번째의 순서로 처음으로 등장하며, 이후 『오종범음집』(1661), 『제반문』(1694), 『(범어사)어산집』(1700), 『산보범음집』(1713), 『천지명양수륙재의범음산보집』(1739), 『작법귀감』(1826) 및 『석문의범』(1935) 등의 불교의례집에서 영산작법에 등장하는 절차이다. 합장게는 『오종범음집』(1661)에서는 상부합장게, 『작법귀감』(1826)에서는 공양게(합장게)로 기록되어 있으며, 오늘날에는 합장게로 통용되고 있다.
○ 연행 시기 및 장소, 용도
《상주권공재》, 《시왕각배재》와 같은 작은 규모의 불교의식 또는 《영산재》, 《예수재》, 《수륙재》 등과 같은 큰 규모의 불교의식에서 행해지는 영산작법 절차에 등장하는 의식 구성의 하나로, 범패승의 독창으로 연행된다.
○ 형식과 구성
5언 4구로 된 한문정형시의 게송으로, 《상주권공재》, 《시왕각배재》 및 영산작법의 절차 등에 나타나며 모두 동일한 가사로 이루어져 있다.
○ 음악적 특징
5언 4구의 한문정형시로 이루어진 가사구조에 따라 선율은 1, 2구의 안짝과 3, 4구의 밧짝으로 구분되지만 안짝과 밧짝의 선율은 거의 비슷하여, 전반적으로 일자다음(一字多音, melismatic)으로 노래되지만, 상황에 따라 1, 2, 3구는 평염불처럼 가사를 엮음으로 쓸어 부르고, 4구만 긴 소리로 노래하기도 하므로 일자일음(一字一音) 및 일자수음(一字數音)으로도 연행된다. 연주 방식은 무반주의 독창으로 연주된다
다만 악곡의 끝부분에서는 종지를 알리는 반주악기가 동반되기도 하는데, 경제범패에서는 태징으로, 영제범패에서는 태징, 광쇠, 북 등으로 연주된다. 솔(sol)-라(la)-도(do)-레(re)-미(mi)의 5음계로 구성되며, 일정한 장단 없이 2소박과 3소박이 혼합된 불규칙한 박자 구조이지만 대체적으로 3소박 위주로 이루어져 있다. 선율은 전반적으로 ‘도(do′)-라(la)-솔(sol)-미(mi)’로 하행 종지되는 메나리토리가 근간을 이루고 있으나, 경제범패에서는 부분적으로 최저음 미(mi)가 생략되어 솔(sol)로 종지 또는 라(la)를 굵게 요성 하는 등 경토리와 수심가토리의 영향이 나타나기도 한다.
합장이위화(合掌以爲花) 신위공양구(身爲供養具) 성심진실상(誠心眞實相) 찬탄향연복(讚歎香煙覆) 합장한 두 손은 마치 한 송이 연꽃이고, 몸은 부처님의 법을 받드는 공양구로다. 정성스런 마음이 곧 진실의 상이니, 향과 연기가 가득함을 찬탄하나이다
합장게는 5언 4구의 한문정형시로 된 게송으로, 1634년에 간행된 『영산대회작법절차』에서 처음 등장한 이후 현재에 이르기까지 특별한 변화 없이 과거의 게송 그대로 이어지고 있다. 『영산대회작법절차』는 오늘날의 영산작법에 해당하는 의식으로, 합장게는 조선 초·중기에서부터 지속되어 온 역사성을 지닌다.
법 현, 『영산재연구』. 운주사, 2001. 서정매, 『영제범패의 전승과 변화 양상』, 민속원, 2017. 백일형, 「범패 팔공산제에 대한 연구: 종성·할향·합장게·칠여래·화청을 중심으로」, 『동양음악』 0, 1987. 서정매, 「합장게의 선율구조에 관한 연구: 영제와 경제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음악문화연구』 1, 2010. 서정매, 「영제 영산작법 절차의 시대적 변천 연구」, 『공연문화연구』 26, 2013. 서정매, 「영제범패 영산작법 연구: 부산어장 용운과 마산어장 석봉을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양영진, 범패 홑소리의 의식음악 양상 연구: 박송암창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20. 한만영, 「범패 홋소리의 선율형태: 할향·합장게·개계를 중심하여」, 『불교학회』, 1967.
서정매(徐貞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