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향게(燃香偈)
불교의식에서 부처에게 바치는 향을 사르며 부르는 노래
불교의식에서 부처를 모신 상단(上壇)에 향을 올리며 부르는 노래이다. 7언 4구로 구성된 한시(漢詩)를 가사로 삼는데, 이처럼 4구 구성의 한문정형시를 불가에서는 ‘게(偈)’라고 한다. 상주권공재, 시왕각배재와 같은 소규모 재에서는 홑소리로 연행하고, 《영산재》에서는 짓소리로 부르며 명칭 또한 ‘연향게(燃香偈)’로 바꾸어 불렀다고 한다. 그러나 현재 짓소리로 연행되는 등게는 전하지 않는다. 타악기 징을 쳐서 시작과 종지, 악구를 구분하며 독창으로 부른다.
향은 불교에서 추구하는 이상(理想), 해탈(解脫)을 상징하는 대표적인 공양물 중 하나이다. 조선 제9대 왕 성종의 명복을 빌며 인수대왕대비가 간행한 『진언권공』(1496)에는 향과 함께 등(燈), 꽃(花), 과일(菓), 차(茶), 쌀(米)의 여섯 가지 공양물이 언급되어 있다. 이는 중국불교의 육종공양(六種供養)에서 파생된 것으로, 여섯 가지 품목에 대한 정립은 한반도에서 완성되었다. 등게의 가사 중 다섯 가지 향(五分香)에 대한 내용은 『육조대사법보단경』(1290)에 나타나지만, 오늘날과 동일한 게송의 형태는 『진언권공』에서 찾아볼 수 있다.
○ 역사적 변천 과정 한반도에 전해지는 《영산재》 의례서 중 가장 오래된 『진언권공』(1496)에서부터 현행 재의식의 모본(模本)인 『석문의범』(1935)까지 부처를 모시는 상단의 시작 절차는 모두 동일하게 기록되었다. 이는 〈할향〉으로 시작하여 〈연향게〉, 〈할등〉, 〈연등게〉, 〈할화〉, 〈서찬게〉로 이어지는 6개의 절차로, ‘삼할향ㆍ삼등게(三喝香·三燈偈)’라 한다. 각각 향(香), 등(燈), 꽃(花)에 대한 공양의 알림(喝)과 행함(燃)의 절차로, 〈연향게〉가 향을 올리는 의식임에도 불구하고 ‘등게(燈偈)’라고 불리는 이유가 이 명칭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추측된다. ○ 용도 부처를 모시는 상단을 시작으로 향을 바치는 절차이다. 〈할향〉과 짝을 지어 부르는데, 이는 의식의 시작을 고하기 위함이다. ○ 음악적 특징 오늘날 전승되는 〈등게〉 중 가장 대표적인 음원은 경기ㆍ서울 지역 범패를 전승하는 봉원사 박송암의 홑소리이다. 징의 신호에 맞추어 독창으로 연행하며, 빠르기는 ♩.≒38~41 정도로 매우 느리다. 가창자의 호흡에 따라 3소박과 2소박이 혼합되는 불규칙 박자로 불리나 대부분 3소박으로 구성된다. 주로 미(mi)-솔(sol)-라(la)-도(do′)-레(re′)의 5음을 사용하며, 종지음은 미(mi)로, 메나리토리가 선율의 근간을 이룬다. 그러나 일부 선율이 솔(sol)을 거쳐 라(la)로 상행하고, 솔(sol)과 라(la)를 격하게 요성하는 등 경토리 및 수심가토리의 영향을 받은 시김새가 나타나기도 한다. #3 음원 연향게 ○ 형식과 구성 등게는 한시로 이루어진 ‘게(偈)’로서 총 4구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홀수구인 1구와 3구, 짝수구인 2구와 4구의 선율이 거의 동일하며, 짝수구가 홀수구의 선율을 축소한 형태로 되어있다. 따라서 〈등게〉의 형식을 AA’AA’로 나타낼 수 있다.
戒定慧解知見香 遍十方刹常芬馥 願此香煙亦如是 熏現自他五分身 계향ㆍ정향ㆍ혜향ㆍ해탈향ㆍ해탈지견향이 시방세계에 두루하며 항상 향기롭습니다. 원하옵건대 이 향의 연기도 이와 같아 훈함에 저희 모두 오분법신 나투어지이다.
심상현(만춘), 『중요무형문화재 제50호 영산재』(국립문화재연구소, 2003)
본래 여러 불교의식에서 홑소리와 짓소리로 모두 불렸던 악곡이다. 오늘날 짓소리 등게의 전승은 끊어졌지만, 홑소리 등게에 짓소리의 선율이 일부 남아 전한다. 〈할향〉과 함께 부처에게 향을 공양하는 상단 의식의 시작 절차로, 15세기 이후부터 가사와 절차의 형태가 바뀌지 않고 전승되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범패: 국가무형문화유산[1973 지정(범패)], [1987 명칭 변경(영산재)] 삼화사 수륙재: 국가무형문화유산(2013) 진관사 수륙재: 국가무형문화유산(2013) 아랫녘 수륙재: 국가무형문화유산(2014) 부산영산재: 부산광역시 무형문화유산(1993) 영산작법: 전라북도 무형문화유산(1998) 범패와 작법무: 인천광역시 무형문화유산(2002) 범패와 작법무: 대구광역시 무형문화유산(2002) 인천수륙재: 인천광역시 무형문화유산(2004) 경제어산: 서울특별시 무형문화유산(2013) 생전예수재: 서울특별시 무형문화유산(2019) 불교의식: 제주특별자치도 무형문화유산(2002) 내포영산대제: 충청남도 무형문화유산(2008) 구인사 삼회향놀이: 충청북도 무형문화유산(2012) 광주영산재: 광주광역시 무형문화유산(2014) 밀양작약산예수재: 경상남도 무형문화유산(2019) 생전예수재: 경기도 무형문화유산(2022)
김정수 옮김, 『(역주) 진언권공ㆍ삼단시식문 언해』,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08. 박세민 편, 『한국불교의례자료총서 1~4』, 삼성암, 1993. 심상현(만춘), 『중요무형문화재 제50호 영산재』, 국립문화재연구소, 2003. 안진호, 『석문의범』, 법륜사, 1931. 지환 저, 김두재 옮김, 『한글본 한국불교전서 조선10 천지명양수륙재의 범음산보집』, 동국대학교출판부, 2012. 김태수, 「육법공양의 문헌적 전거와 그 사상적 의의」, 『천태학연구』 25, 2022. 서정매, 「육법공양 절차의 시대적 변천 연구」, 『동아시아불교문화』 27, 2016. 서정매, 「영제 〈영산작법〉 절차의 시대적 변천 연구」, 『공연문화연구』 26, 2013. 양영진, 「범패 홑소리의 의식음악 양상 연구: 박송암창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20. 윤소희, 「범어범패의 율적 특징과 의례 기능」, 『국악원논문집』 36, 2017. 이성운, 「한국불교 의례체계 연구: 시식 공양 의례를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정회명, 「현교와 밀교 경전에 나타난 오공양과 육법공양의 원류에 관한 연구」, 『천태학연구』25, 2022. 차차석(법안), 「한국수륙재의문의 성립 및 변용 연구」,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8.
양영진(梁映珍)